中 보복에 롯데그룹, 앞 ‘깜깜’…‘뉴 롯데’ 삐거덕
中 보복에 롯데그룹, 앞 ‘깜깜’…‘뉴 롯데’ 삐거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기력한 정부 대응도 롯데그룹 위기 불러
▲ 사드 배치로 인해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 보복으로 롯데마트 39곳이 영업정지를 당하는 등 중국 사업 진출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올해 롯데그룹은 50주년을 맞이하고 있지만 잔치집 분위기는 사라진지 오래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롯데그룹이 50주년 잔치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사드 몽니와 정부의 무기력한 대응으로 신동빈 회장의 ‘뉴 롯데’ 출범이 삐거덕 거리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인해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 보복으로 롯데마트 39곳이 영업정지를 당하는 등 중국 사업 진출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사드부지 제공에 롯데 및 관련업계 피해 확산
롯데그룹은 성주 골프장을 국방부에 사드 부지로 내놓기 위한 고민이 깊었다. 성주 골프장을 제공할 경우 배임문제가 불거질 수 있고, 중국의 사드 보복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결정할 경우 중국 보복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내부 위기감이 감돌았다. 그럼에도 사드부지 제공을 위한 이사회 결정에는 신동빈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그동안 롯데그룹은 한국기업보단 일본기업이라는 ‘오명’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때문에 신동빈 회장은 항상 롯데그룹은 한국 기업이라고 일관된 입장을 견지했다.

지난해 12월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는 명백히 한국 기업이며 일본과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 호텔롯데 상장을 꾀했지만 검찰 조사로 인해 무산됐다”고 밝힌 바 있다. 롯데그룹에선 이번 사드부지 제공을 통해 한국 기업 이미지 확립에는 도움이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반대로 중국 사업이 고사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드 부지 제공 이후 중국정부는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마트 99개 점포 중 39곳이 소방법 위반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시정조치를 한 이후, 중국 소방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영업이 재개되지만 현재의 중국 내 분위로 볼 때 영업재개는 불투명한 상태다. 게다가 지난 6일 자오양(朝陽)구 주셴치아오(酒仙橋) 롯데슈퍼가 가격 위반을 했다며 중국 베이징(北京)시 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가 50만위안(한화 8천300여만원)의 벌금에 경고 처분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외에 다른 계열사로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 보복이 더 커질 것이라는 가능성이다.

이와 관련 롯데그룹 관계자는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진 롯데마트 점포가 늘어나 39곳에 이르렀다”며 “현재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외엔 피해를 입은 계열사는 없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우려가 커지는 것은 롯데그룹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으로 확산될 경우 걷잡을 수 없이 피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롯데그룹도 이 부분을 가장 염려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에서 불매운동까지 일어날 정도로 중국 언론이 여론몰이를 이어가면서 영업정지 매장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업계 일각에선 롯데가 롯데마트 점포를 철수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에 따르면 현재 롯데마트 철수는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는 입장으로 상황을 지켜보며 대책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한편, 중국 사업에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서 국내 면세점에도 피해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매출의 70% 이상이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고 있어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길 경우 중국인 매출의 절반이 사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롯데면세점 6조원의 매출 중 중국 관광객이 차지한 매출은 4조2000억원에 달한다. 예상대로라면 2조원 가량이 줄어들 수 있어 그룹 경영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국내 면세점 1위인 롯데면세점이 흔들리면 신규면세점은 고사 직전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현재로선 중국정부의 압박 탓에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게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대목이다.
▲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길 경우 중국인 매출의 절반이 사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조원 가량이 줄어들 수 있어 그룹 경영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사진은 롯데월드타워점 방문한 중국 관광객. [사진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무기력한 정부 대응, 뾰족한 수 없어
더 큰 문제는 롯데그룹이 흔들리고 있음에도 사드부지를 제공받은 정부가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롯데그룹은 정부에 성주 골프장을 사드부지로 제공한 대가로 남양주 군용지를 받은 것치고는 출혈이 크다. 롯데면세점 홈페이지 공격, 온라인쇼핑몰 퇴출, 불매운동, 한국관광상품 롯데 제외 조치 등 중국은 정신을 못차릴 정도로 롯데에 융단폭격을 퍼붓고 있다.

지난 5일 롯데그룹은 황각규 경영혁신실장 주재로 관련 계열사 임원들과 ‘중국 현황 점검회의’를 열고 그룹 계열사를 비롯한 중국 진출기업이 입게 되는 피해 최소화와 사태 수습을 위해 정부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정부는 잇따라 대책 회의를 열고 사드보복의 국제법 위반 여부 검토와 피해업종 지원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업계서는 실효성이 있겠느냐며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가 중국의 사드 보복 우려 제기에도 팔짱만 끼고 대책 없이 일관해왔다는 비판이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7월19일 국회 긴급 현안질문에서 “한중 관계가 고도화돼 쉽게 경제 보복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중국 정부 측에서 경제 제재를 취하겠다는 얘기도 없었고, 그런 걸 시사하는 발언도 없었다. 앞으로도 그런 게 있을지에 대해 꼭 예단할 필요는 없다”고 맞장구쳤다.

그러나 상황이 다르게 돌아가자 산업부는 한중 통상점검 TF(테스크포스)를 가동,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 우태희 차관은 7일 “정부는 중국 측의 일련의 조치가 국제규범에 위배되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사드 배치는 북한의 위협에서 우리 안보를 지키기 위한 주권적, 자위적인 방어 조치”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