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시민단체들 “핵심인사 비껴갔다”, 서병수 시장 등 수사촉구

하지만 검찰은 실소유주인 이영복 청안건설 회장의 ‘관리형 로비’로 결론을 내면서, 인·허가 과정의 로비 의혹, 특혜 대출·분양 의혹 핵심 의혹은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엘시티 비리가 ‘초대형 게이트’가 될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지난 7일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는 조용했다.
이와 관련,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8일 논평을 통해 “핵심인사를 비껴간 용두사미 수사로 막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검찰의 수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허점과 문제점을 드러냈다”며 “성급하게 정황만 갖고 압수수색 등 수사를 벌여 진술에 의존하는 꼴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서병수 부산시장에 대한 수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서 시장의 측근들이 구속됐음에도 서 시장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지 않은 점은 검찰의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서 시장에 대한 조사를 주문했다. 또 구속영장이 기각된 허남식 전 부산시장에 대해서도 “보강수사를 통해 영장을 재청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연대는 “이번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는 전국적으로 일고 있는 부정부패 청산과 새로운 대한민국을 염원하는 민심을 외면한 것”이라며 “검찰 스스로가 권력 봐주기 수사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보여줬다”며 추가 수사를 촉구했다.
또 <뉴스1>에 따르면 박근혜정권퇴진 부산운동본부도 이날 오후 부산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의 중간수사결과 내용은 부실하다”며 “엘시티 사업 비리 수사를 새롭게, 제대로 진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검찰은 엘시티 인허가와 관련해 로비를 받은 부산시청, 해운대구청 공무원, 부산도시공사직원, 시 구의원 100여명과 교수 및 전문가 28명 등 수수금액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기소하지 않았다”라며 “검찰이 지역의 토착업체, 공무원, 전문가 그룹의 뇌물과 특혜라는 유착고리를 끊을 수 있는 기회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