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 100%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열린우리, 100%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 윤여진
  • 승인 2006.09.29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길거리 전자투표, 신분 확인만 되면 누구나 투표
▲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열린우리당이 내년 대선후보 경선을 완전국민참여경선제로 확정했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29일 당 확대 간부회의에서 “지금부터 100% 국민경선제에 대한 준비 작업을 착수할 것”이라며 선거인단 전체 구성원이 완전한 국민 참여로 이뤄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열린우리당의 경선 형태와 운영 방식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현재 알려진 것은 선거인단을 전원 일반국민으로 구성하며, 후보자격도 따로 없다는 것. 2002년 민주당의 국민참여경선제는 일반국민 50%, 대의원 20%, 당원 30%의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했다. 현행 열린우리당의 경선 방식도 같아, 당헌의 개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공직선거법 57조 3항에 따르면, 당내 경선을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를 구별하지 않고 투표권을 부여하는 국민경선은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개정이 필요하다. 투표 방식도 관심사. 2002년에는 16개 시도당을 순회하면서 지역별로 선거인단을 특정 장소에 모아 투표를 진행했지만, 이번에는 100% 일반국민 투표로 이뤄지는 만큼 투표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열린우리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태스크포스 팀에서는 ‘길거리 투표’를 제안하고 있다. 통행량이 많은 공공장소에 전자투표기를 설치해 누구든지 신분 확인 절차만 거치면 투표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역선택의 우려가 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나라당 지지자 등 열린우리당에 반대하는 이들이 조직적으로 투표에 참여해 당선가능성이 낮은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지 않겠느냐는 것. 이에 대해 백원우 열린우리당 의원은 “1백만 명을 넘어설 경우 역선택의 의미가 없다”고 반박하지만 설득력은 높지 않아 보인다. 한편 한나라당은 남경필 의원 등 소장파가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에 개방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강재섭 대표는 “사전선거운동 혐의”를 거론하며 도입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