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다소 늦더라도 ‘안전하게’ 가는데 동의하십니까?”
박원순 “다소 늦더라도 ‘안전하게’ 가는데 동의하십니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시성→안전성 패러다임 전환, 막차시간 30분 단축도 검토
▲ 박원순 서울시장은 9일 “서울 지하철이 40여 년간 고수해온 ‘정시성’보다 ‘안전성’으로 교통 패러다임을 전환한다”고 밝혔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은 9일 “서울 지하철이 40여 년간 고수해온 ‘정시성’보다 ‘안전성’으로 교통 패러다임을 전환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빨리빨리’에서 ‘다소 불편하고 늦더라도 안전하게’ 가는데 동의하십니까?”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하철은 교통이 혼잡한 서울시내에서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1등 공신이다. 그런 명성 뒤에는 ‘정시운행’이 원칙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 번의 사고로 깨달았다”며 “누군가의 속도는 누군가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을”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선 ‘승객안전’이 ‘정시운행’보다 앞선 가치가 될 수 있도록 기관사 매뉴얼을 개정했다. 또 정비시간 확보를 위해 막차시간도 30분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 8일 지하철의 안전기능 전반을 보강하고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 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표된 대책에 따르면, ▲ 21년 이상 된 노후 전동차 610량 교체 ▲ 120개 노후 역사 리모델링 ▲ 역 하나당 2명씩 안전관리 인력 배치 ▲ 2인 승무제 시범 실시 ▲ 지하철 보안관 50명 충원 ▲ 시민안전행동 매뉴얼 제정 등을 담고 있다.
 
지난해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부터 최근 벌어진 잠실새내역 화재 사고까지 지하철 안전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만큼, 안전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박 시장은 “이에 따라 간혹 발생하게 될 불편과 연착에 대한 시민여러분의 이해와 동의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안전은 그 어떤 것과도 타협할 수 없는 제 1의 가치다. 조금 늦더라도 안전하게 가겠다”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