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숙인 절반이상, 일할 수 있다” 재기 기회 부여
“서울 노숙인 절반이상, 일할 수 있다” 재기 기회 부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노숙인 근로능력 평가해 맞춤형 일자리 지원
▲ 서울시 노숙인 절반 이상은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노숙 생활을 하는 것으로 서울시 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들을 위해 노숙인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계획이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서울시 노숙인 절반 이상은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노숙 생활을 하는 것으로 서울시 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들을 위해 노숙인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해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2월부터 노숙인(쪽방주민 포함)에 대한 근로능력 평가를 실시한 바 있으며,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서울시의 발표에 따르면, 전체 노숙인 6천725명중 약 90%인 6천99명을 조사 및 평가했고 근로능력을 5단계(A·B·C·D·E)로 나눴다. 이 중 A·B·C그룹은 일을 할 수 있는 그룹이며, D·E그룹은 근로능력이 미약하거나 없는 그룹이다.
 
조사결과 A그룹 (451명, 8%), B그룹 (1천509명, 25%), C그룹 (1천362명, 22%)에 포함된 3천322명은 민간일자리와 일자리 갖기 사업의 1차 대상이 된다. 일자리 갖기 사업이란 근로능력을 갖춘 노숙인에게 지원하는 민간취업 전 단계의 일자리로 공원 청소, 장애인 작업장 보조, 사무 보조 등의 일을 한다.
 
D그룹 (2천211명, 36%)과 E그룹 (536명, 9%)에 포함된 2천747명은 공동작업장과 자활작업장을 우선하여 지원한다는 게 서울시 계획이다. 공동작업장이란 쇼핑백 접기, 양초 제작, 장난감 조립 등 단순 노무 형태의 가내수공업이 이뤄지는 사업장을 뜻한다. 서울시는 올해 공동작업장 2개소를 더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는 2천600개를 목표로 근로능력과 사례관리를 강화하여 노숙인의 근로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민간일자리 1천150개, 일자리갖기 215개, 특별자활 700개, 작업장 535개 등의 일자리 지원 방침을 밝혔다.
 
서울시는 또 공공일자리에 참여하는 330명의 노숙인을 민간일자리로 전환해, 공공예산을 절감하고 노숙인 자립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