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안전 위협” vs “경영효율 극대화”

노조 측은 “철로 유지보수와 정비 업무를 외부업체에 맡겨 외주화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시민 안전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회사 측은 “일정 부분 외주를 통해 경영상의 효율을 극대화하자는 취지”라고 맞서고 있다.
29일 철도노조에 따르면 지난 27일부터 노조 간부를 중심으로 코레일 본사 앞에서 ‘안산선 선로유지보수 업무 외주화 중단 및 고양차량 KTX 정비 외주화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집단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노조 측은 “지난해 회사 측이 부당노동행위로 물의를 일으킨 모 업체와 안산선 선로유지보수 도급계약을 맺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KTX 고속열차의 승강문 등 3개 부문에 대한 정비 외주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올해 외주화 범위를 7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비핵심 업무 중심으로 위탁관리를 추진하는 외주화 사업은 경영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프로젝트”라며 “기존 정규직 인력은 신설노선 등에 재배치되기 때문에 노조가 우려하는 신분상 안정성 문제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노사 양측의 업무 외주화를 둘러싼 갈등이 앞으로 한층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최근 성과연봉제 추진을 두고 불거진 조합원 징계 갈등 및 법적 다툼과 맞물려 분쟁 확대의 단초가 될 소지가 클 것으로 점쳐진다.
결국 노사 양측의 갈등과 대립이 고조되는 가운데 코레일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