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두고 한·중·일 잇따라 정상회담
‘북핵’ 두고 한·중·일 잇따라 정상회담
  • 윤여진
  • 승인 2006.10.09 1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일 중·일, 9일 한·일, 13일 한·중 회담 열려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북한 핵실험 선언을 두고 한·중·일 3국 정상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8일 중국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깊은 우려를 표명하는 내용의 공동발표문을 발표했다. 이 발표문에는 6자회담 재개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공동 노력한다는 북한 관련 내용 이외에도 공동 역사연구, 2007년을 문화·스포츠·청년 교류의 해로 삼는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로 경색되어 있던 양국 정상이 만난 것은 5년 만의 일이다. 회담 이후 후 주석은 “아베 총리가 취임 후 첫 방문지로 중국을 택한 것은 양국 관계의 긍정적인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아베 총리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는 것을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며 협력을 요청하자, 후 주석은 “북한이 핵실험을 억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아베 총리는 8일 베이징에 이어 9일에는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 회담을 열 예정이다. 이 회담에서도 북한 핵실험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이 협의될 예정이다. 그러나 양국 모두 구체적인 해법이 없어 원론적인 경고 선언을 채택하는데 그칠 전망이다. 13일에는 노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후 주석을 방문한다. 이미 천영우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9일 베이징에 파견한 노 대통령은, 천 본부장의 사전조율에 따라 ‘포괄적 접근방안’ 또는 또 다른 ‘최종적 경고 메시지’에 대한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핵실험 선언을 두고 중·일, 한·일, 한·중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리는 가운데, 이번 정상회담의 중량감에 비해 설득력 있는 해법이 없어 북한 핵실험 강행 여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회의론이 지배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