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9일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조선중앙방송 정오 뉴스를 통해 “지하 핵시험을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9일 15시 현재까지 정부에서는 공식적으로 북한 핵실험 성공 여부를 확인해주지는 않은 상태이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함경북도 화대군에서 리히터 3.58의 지진파가 관측되었으며, 핵실험 지진파 치곤 약하긴 하지만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이 맞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미국 지질조사국도 10시35분 리히터 4.2의 진동을 감지했다고 발표했다. 이곳은 정형근 한나라당 의원이 지난달 23일 핵실험 지역으로 지목한 길주군에서 30킬로미터 떨어진 곳이다.
이에 정부는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개최하여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한명숙 총리, 김승규 국가정보원장,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윤광웅 국방부 장관, 이종석 통일부 장관, 송민순 청와대 외교안보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승규 국정원장은 “북한이 핵실험 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핵물질을 보유하고, 다수의 지하갱도가 존재하며, 핵실험을 위한 장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했다.
회의가 끝나고 노 대통령은 5시 15분부터 북한의 핵실험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한일정상회담 결과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한편 미국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 핵실험을 “국제사회에 도전하는 도발적 행동”으로 규정한 뒤 “미국은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동안 북한과 우애를 다져오던 중국 정부도 “이번 핵실험은 9·19공동성명을 짓밟는 행위”라며 “중국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 역시 총리실에 긴급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시오자키 관방장관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일본 정부는 핵실험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엄중한 항의와 구속력 있는 대북 제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9일 긴급회의를 소집해 북한 핵실험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안보리는 지난 7일 의장성명에 이어 새로운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며, 이번 결의안에는 군사적 제재가 가능한 유엔헌장 7장이 담길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