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앞으로 대북 포용정책을 계속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노 대통령은 9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북한 핵실험과 한·일 정상회담에 관한 기자회견을 가졌다. 노 대통령은 “이번 핵실험 실시는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태”라고 “여야 지도자들과 사회 지도층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서 단호하고 냉정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같은 날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은 “지금은 북핵 예방을 위한 외교에 집중할 때”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대신 여야 5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10일 청와대로 초청해 조찬을 갖고 여야 지도부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또한 노 대통령은 구체적인 대응조치에 관해 “대개 예측하고 있는 여러 가지 대응조치들이 다 여기에 포함되는 일일 것”이라며 “한국정부가 조급하게 독단적으로 구체적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는 국내·외적으로 충분히 의견 교환을 하고 조율된 조치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즉답을 피했다.
그러나 “이제 한국이 제재와 압력이라고 하는 국제사회의 강경수단의 주장에 대해서 대화만을 계속하자고 강조할 수 있는 입지가 상당히 없어진 것 아닌가”라고 평가하며 “한국정부도 이 마당에 와서 포용정책을 계속 주장하기는 어려운 문제”라며 지금까지의 대북 포용정책에 변화가 있으리라고 암시했다.
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북한 핵실험을 “국제 핵 질서와 우리가 관리하고 있는 평화의 질서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지나친 안보 민감증도 곤란한 것이다. 경제에 영향이 없도록 우리국민 모두가 협력해 나갈 때 우리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 관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