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시 물가 상승 요인될수도"
8월 수해 때문에 형성된 생산자물가 상승세가 9월에는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 여파에 따른 원화 가치 급락,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등 물가 상승 요인이 산재해 있어 향후 물가 동향을 섣불리 예단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올라 8월의 0.8%에 비해 상승세가 둔화됐다.
생산자물가는 6월 보합세에서 출발해 7월 0.4%, 8월 0.8%로 상승폭이 계속 커졌으나 9월 들어 숨고르기 국면으로 들어섰다. .
한은은 8월 생산자물가 급등의 주범이었던 농림수산품 상승폭이 8월 6.5%에서 지난달 0.7%로 낮아진 데다 국제 유가가 하락 반전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고 풀이했다.
다만 전력.수도.가스 등 일부 공공요금 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이 크게 꺾이지는 않았다.
작년 동월 대비로도 9월 생산자물가는 3.1% 상승, 8월의 3.4%와 대비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향후 물가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복잡한 변수가 남아있다.
한은 관계자는 "북한 핵실험에 따른 원화가치 급락 현상이 이어질 경우 수입품 가격 상승세로 이어져 향후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하지만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고 있어 아직까지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공공요금 인상도 마무리된 것이 아니어서 추가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