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부산신항 하역료 놓고 운영사와 갈등
현대상선, 부산신항 하역료 놓고 운영사와 갈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리한 계약조건으로 부담 가중… “여의치 않을 경우 외국항만 활용 검토”
▲ 현대상선이 부산신항 4부두(HPNT)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PSA(싱가포르 항만공사)와 하역료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박현 기자] 국내 유일 국적선사인 현대상선이 외국계 터미널 운영사 ‘PSA(싱가포르 항만공사)’와 부산신항 4부두(HPNT) 터미널 하역료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현대상선은 PSA(싱가포르 항만공사)에 경쟁선사들보다 높은 하역료를 인하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사항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환적화물을 대거 외국항만으로 이전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는 현대상선이 PSA와 불리한 계약 조건 속에 부산신항 이용 시 다른 터미널을 이용하는 외국의 경쟁선사들보다 연간 300억원대의 추가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난 데 기인한다.
 
당초 현대상선은 해당 터미널 지분 50%+1주를 가진 최대주주였으나 지난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채권단의 자구안 마련 요구에 따라 PSA에 40%+1주를 800억원에 매각했다. 당시 PSA가 인수 조건에 ▲ 2023년까지 연간 최소 70만개 물동량 보장 ▲ 연간 70만개 미달 시 패널티 부여 ▲ 매년 일정비율 하역료 인상 ▲ 부산신항 및 북항과 광양항 등에서 3년간 터미널 인수 금지 ▲ 부산신항 입출항 시 HPNT만 이용 등의 조항을 삽입했다.
 
이 때문에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과정에서 부산신항 하역료가 대체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계약조건이 걸림돌로 작용해 한층 비싼 하역료를 부담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HPNT의 수출입화물 요율이 부산신항의 다른 터미널과 비교할 때, 개당 2만원가량 더 비싼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에 현대상선은 해당 하역료 문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최소 물량 70만개를 초과하는 물량은 전용터미널이 있는 대만이나 중국의 다른 항만에서 처리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부산신항에 비해 환적화물 하역료가 대만 가오슝 67%, 중국 상하이 55~45%, 칭다오 41%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올해 150만개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량 가운데 80만개가량을 외국 항만으로 옮겨 처리하면, 하역료 부담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계산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현재 PSA와 부산신항 터미널 하역료 문제를 놓고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