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폐점 전략으로 구조조정 점포 개선작업 돌입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이마트가 중국사업에서 적자가 누적되면서 완전 철수라는 카드를 꺼내든 반면 롯데마트는 영업정지로 인해 적자가 커지면서도 중국에서 철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두 대형마트가 중국사업 진출 이후 다른 길을 걷게 되면서 향후 롯데마트가 중국시장에서 완전히 정착할지 아니면 사드 보복 영향으로 롯데마트마저 중국에서 발을 뺄지 유통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6일 이마트가 중국에서 연내 철수를 밝힌 가운데 롯데마트는 철수는 생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마트는 2007년 네덜란드계 마크로사를 인수하면서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밟은 이후 중국에 진출한 점포수만 현재 99개로 이마트와 다른 규모를 갖고 있다. 롯데칠성, 롯데리아, 롯데마트, 롯데월드, 롯데백화점, 롯데자산개발 등 다른 계열사와 시너지를 연계하고 있는 만큼 혈혈단신인 이마트와는 중국사업에 대한 접근 방법이 다르다.
롯데마트는 중국 사드 보복 영향으로 85개점이 영업정지 상태여서 적자가 늘어나고 있다. 적자규모만 2500억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현재 영업정지가 풀리지 않아 적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롯데마트 철수는 생각하고 있지 않고 현지 직원들도 당장은 어렵지만 마트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의지가 있다”며 “이마트가 철수한 것에 영향은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출·폐점은 사드 보복 이전에도 이뤄지고 있던 만큼 적자가 큰 점포는 폐점 등 구조조정으로 점포 개선작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한편, 이마트가 중국에서 철수카드를 꺼내든 것에 대해 유통업계는 언제 철수한 것인가가 문제였지 최근 결정에서 내려진 결론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실제 이마트는 2011년 한해 적자가 1천억원에 달하자 구조조정을 시작해 11개 점포를 매각했다.
이마트는 1997년 상하이 취양점에 1호점을 낸 이후 점포수를 26개까지 늘리며 사업을 확장했지만 ‘유통업계의 무덤’으로 불리는 중국 현지화에 실패하면서 수익성 악화를 겪게 됐다. 게다가 높은 임차료, 중국 경기 둔화, 입지 선정 문제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누적적자가 2천억원에 달하자 사업을 정리하는 수순을 밟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최근 불거진 사드 보복 영향은 이마트가 중국에서 완전 철수라는 카드를 꺼내든 배경이다. 이마트는 이달 말 임대 계약이 끝나는 상하이 라오시먼점 계약을 연장하지 않았고, 루이홍점, 무단장점, 난차오점, 창장점, 시산점, 화차오점 등 6개 점포도 장기 계약에 따른 임대료 정산 문제, 고용 문제 등의 협의가 끝나는 대로 연내 폐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