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사업 부문별 연관성 부족… 전문화 통해 경쟁력 제고

한화테크윈은 27일 이사회를 열고 사업 부문별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존의 방산사업본부, 에너지장비사업본부, 산업용장비부문을 각각 물적분할, 자회사 3개로 새롭게 편제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분할 기일은 오는 7월 1일이다.
사업 분할이 완료되면 현재의 한화테크윈은 존속법인 한화테크윈과 자회사 한화다이나믹스, 한화파워시스템, 한화정밀기계 등 4개 회사로 나뉘게 된다. 이 가운데 존속법인 한화테크윈은 항공기 엔진·엔진부품, 감시카메라, 산업용 로봇 등의 제조·판매를 맡게 된다. 한화다이나믹스는 자주포 및 전투용 차량 등을, 한화파워시스템은 압축기, 발전기, 가스터빈 등을 제조·판매할 예정이다. 한화정밀기계는 칩마운터 등의 제조·판매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사업 분할은 항공엔진과 지상방산, 시큐리티와 산업용 장비 등 사업별로 성격이 서로 다른 데다 사업 간 기술, 고객, 생산프로세스 등에서 시너지를 내는 데 한계가 있어 각 사업 부문이 독립법인으로 전문화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뤄졌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기존의 자회사인 한화디펜스는 지상방산사업이라는 공통분모를 고려,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새로 설립되는 한화다이나믹스의 자회사로 편제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CCTV 등 영상보안장비를 생산하는 시큐리티 부문은 이번 분할 결정에서 제외돼 존속법인인 한화테크윈에 남게 됐다. 하지만 한화테크윈 측은 다른 사업 부문과의 연관성이 부족하고 독자적인 브랜드가치 제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추후 인적분할 등 자체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다.
앞서 한화테크윈은 지난 2015년 12월 항공방산, 시큐리티, 산업용 장비 사업을 부문별로 나눠 운영하기로 한 뒤 이듬해 실적을 크게 향상시킨 바 있다. 한화테크윈 측은 사업 분할 후 회사별로 투자나 주요 사업 등에 대한 독립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경영 효율과 업무 신속성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