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옵션보다는 차라리 현찰을 달라!
스톡옵션보다는 차라리 현찰을 달라!
  • 오공훈
  • 승인 2004.04.13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가 부러워'... 삼성 임직원 군침 흘리는 까닭은
최근 스톡옵션 행사를 두고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현대차를 부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한다.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지난 3월부터 스톡옵션 행사가 가능해져 무려 1조6000억원대의 대박을 터트렸지만 '감히' 스톡옵션을 행사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다. 반면 현대차는 일률적으로 일정량의 스톡옵션을 행사해 임직원들이 당당하게 목돈을 챙겼다. 600명 스톡옵션에 행사는 40명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전·현직 임직원 가운데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들은 4월 2일 종가 기준으로 전체 이익은 1조6380억원의 평가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별로 보면 스톡옵션을 받은 시기와 주식수에 따라 1인당 최고 637억원에서 최소 3억3억5547만원으로 어마어마한 대박을 터뜨렸다. 가장 많은 평가이익을 챙긴 사람은 윤종용 부회장과 이학수 부회장으로 평가이익이 각각 637억원에 달한다. 가장 적은 평가이익을 챙긴 사람은 지난 2001년 3월 1000주의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직원들로 1인당 3억5547만원에 달한다. 100억원 이상의 평가이익을 챙긴 사람만 보더라도 윤종용 부회장과 이학수 부회장 이외에 이윤우 부회장이 346억원, 김인주 사장, 이기태 사장, 황창규 사장 등 5명이 각각 318억원, 이상현 사장과 한용외 삼성문화재단 사장이 각각 255억원, 진대제 전 사장(현 정통부 장관)이 197억원 등 18명에 달한다. 이처럼 삼성전자 임직원 가운데 스톡옵션으로 대박을 터뜨린 사람은 줄잡아 600명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0년 3월, 2001년 3월, 2002년 2월, 2002년 3월, 2003년 3월 등 5번에 걸쳐 총 557만주(주식 소각으로 주식수 조정 이후 기준)의 스톡옵션을 부여했다. 이중 마지막 스톡옵션을 제외한 4번의 스톡옵션은 작년 3월부터 지난달 26일까지 단계적으로 모두 행사 가능 기간에 돌입했다. 따라서 4번에 걸쳐 스톡옵션을 받은 600여명의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현재 스톡옵션을 행사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 임직원 가운데 스톡옵션을 행사한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2003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스톡옵션을 행사한 전·현직 임직원은 40여명에 불과했다. 특히 수백억원대의 평가이익을 보고 있는 임원들 중에서는 최도석 사장만이 스톡옵션을 행사했다. 최 사장은 지난 98년 참여연대가 낸 주주대표 소송에서 삼성전자가 패소하자, 대법원 판결 전까지 이자를 아끼기 위한 현금 확보 차원에서 스톡옵션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기 유발 위해 스톡옵션 행사하라" 재계 관계자들은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스톡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꼽고 있다. 하나는 '삼성전자 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판단과 '스톡옵션 행사기간이 많이 남았다'는 판단에 따라 행사를 미루고 있다는 것. 다른 하나는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사내외의 시선을 의식해 과감하게 스톡옵션 행사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톡옵션으로 대박을 터뜨린 만큼 행사에 나서면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는 부담 때문인 것이다. 이와 관련, 재계 관계자들은 현대차그룹 임직원들이 과감하게 스톡옵션을 행사한 것과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현대차 77명, 기아차 61명 등 총 138명의 임직원들이 지난 2000년 3월 스톡옵션을 받아 지난해부터 행사를 시작했다. 1인당 평균 평가이익은 수억원에서 수백억원 정도로 삼성전자와 비교해서 결코 뒤지지 않는 규모이다. 그런데 현대차그룹 임직원들은 지난해 10~12월 사이에 비율(33.3%)까지 일률적으로 스톡옵션을 행사해 목돈을 챙겼다. 예를 들어 5만주의 스톡옵션을 갖고 있던 임원들은 1만6660주씩을 행사했고, 3만주를 갖고 있던 임원들은 1만주씩을 행사했다. 심지어 현대차는 지난해 12월 12일 "42만9800주의 스톡옵션이 행사돼 16일부터 새로 주식이 늘어난다"고 공시까지 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정몽구 회장이 스톡옵션을 행사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한 재계 관계자는 "당시 재계에서는 정몽구 회장이 동기를 유발시킨다는 스톡옵션의 원래 취지를 살리라는 지시를 한 것으로 알려졌었다"며, "스톡옵션을 받고도 섣불리 행사하지 못하는 삼성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