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혼란 시기에 자사 제품들 가격을 인상한 식품업체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식품업체들이 인건비, 재료비 등의 이유로 식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지만 시기가 국정혼란 시기와 일치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라면, 사이다, 맥주, 치킨 등의 서민들의 먹거리 가격이 대거 인상됐다. 하지만 그 시기가 국정혼란 시작인 10월부터 최근까지여서 일각에서는 혼란을 틈타 식품업체들이 빠르게 식품 가격을 인상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 선거 하루 전 롯데칠성은 '칠성사이다', '레쓰비' 등의 편의점 판매 가격을 평균 50~200원으로 인상했다. 또한 BBQ는 '황금올리브치킨' 등 10개 메뉴의 가격을 품목별로 8.6%~12.5%로 인상했다. 삼양식품과 농심도 '신라면', '너구리' 등의 가격을 평균 5.4~5.5%로 인상했다.
하나같이 식품업체는 '재료비', '인건비', '유비지' 등을 이유로 불가피하게 인상하는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해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식품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 시점이 국정혼란 시기와 묘하게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식품업체들은 지난 2012년 가격 인상을 단행하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2013년 정부의 경제정책에 협조하겠다며 인상을 철회한 바 있다.
식품업체들의 이같은 행태에 소비자들의 지갑만 얇아지고 있다. 이에 전문가는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묘하게 국정혼란 시기가 겹치는 것은 사실이 맞다"며, "하지만 아직 함부로 단정 짓지 말고 차기 정부에서 물가 안정 등에 힘을 써야 할 것 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차기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에 대한 안을 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얼마 전 농림축산식품부는 BBQ의 치킨 가격 인상에 대해 즉각 반발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하지만 결국 치킨값은 인상되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인건비나 임대료 인상 등 합리적 이유라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