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모투자전문회사(PEF)인 보고펀드가 모집한 투자자금의 대부분이 로비 및 대가성 등 문제가 있는 자금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소속 최경환(한나라당) 의원은 13일 국정감사 배포자료에서 "보고펀드에 투자된 5천110억원의 투자자금 중 4천300억원이 변양호 대표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시절 진행했던 인수.합병(M&A) 관련 기관이나 정부 소유 금융기관이 투자한 것"이라며 "이들 기관의 출자가 과연 투자목적인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보고펀드 투자기관 중 대한생명(500억원)과 신한은행(500억원), 조흥은행(500억원), 하나은행(500억원), 외환은행(400억원) 등은 변양호 대표가 금정국장 시절 진행했던 M&A와 관련된 금융기관이며 우리은행(700억원)과 우리투자증권(300억원), 농협(300억원), 기업은행(100억원) 등은 정부 소유 금융기관이다.
그는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보고펀드 설립 초기 투자유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정부가 우리금융지주를 압박해 투자하도록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기타 신한, 조흥, 외환은행 등도 제대로 된 계획없이 '밀어주기식 투자'를 했다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특히 동양생명은 보고펀드에 출자한 금액이 500억원인데 출자후 700억원 이상을 보고펀드로부터 재투자받았다"면서 "이는 자기주식 취득의 제한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로 교차해 주식을 취득한 행위로 보여지는 만큼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