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계란값…정부 또 "수입 통해 잡겠다?"
'고공행진' 계란값…정부 또 "수입 통해 잡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계란 값 또 다시 수입 통해 잡겠다는 정부의 안일한 대처
▲ 정부가 끝을 모르고 치솟는 계란값을 또 다시 수입으로 잡겠다는 방침을 세워 논란이 일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설 연휴 이후 안정세를 찾아가던 계란값이 다시 치솟는 가운데 정부가 또다시 외국산 수입 카드를 꺼내 들고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3월 중순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한 계란값은 1년 전 5천 249원, 한 달 전 7천 479원보다 각각 2천600원, 400원 오른 7천900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정부는 몇 달 전 실패한 외국산 수입 카드로 계란값을 잡겠다고 나섰다.

최근 수요 증가와 AI 여파로 인해 산란계(알 낳는 닭)들을 도살하며 계란값은 끝을 모르고 '고공행진'을 보이고 있다. 서민들의 주 먹거리 계란의 가격이 상승하자 정부는 호주와 뉴질랜드 등지에서 수입을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호주와 뉴질랜드 등도 자국 소비 물량 정도밖에 생산되지 않아 수입이 원활하지 않았고, AI를 회복한 유럽국가로 수입을 다변화하는 등 수급 안정에 집중하기로 했지만 결국 계란값을 잡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또다시 계란 값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태국과 덴마크산 계란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다음 달 초까지 위생절차를 완료하고, 해상운송비 50% 지원, 병아리 수입 지원 기간 연장(4개월에서 5개월) 등의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계란 수입도 계란값 안정에 큰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을 표했다. 먼저, 수입 절차와 한국으로 들여오는 데 오랜 시간 걸리며, 수입란이 가격과 품질 등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할 지 입증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들이 만족해 계란값이 안정되더라도 수입하는 물량이 한정돼있어 계란값 안정은 일시적인 현상에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한편 농촌경제연구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계란값이 여름철에는 조금 하락세를 보이겠고, 평년 수준으로 안정세를 되찾기는 어려운 전망이다"며 "섣불리 판단치 못하겠지만, 정부는 올해 말, 내년 초에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