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궤멸 막으려면 범보수 합당만이 살 길
보수궤멸 막으려면 범보수 합당만이 살 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강수 회장
대선이 끝나자마자 여당은 여소야대 극복을 위해, 야권은 대선 패배 이후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저마다 정계개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각 당마다 통합과 연대 등을 놓고 부지런히 손익계산에 들어간 모양새다.
 
당장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에선 원내 과반을 이루고자 한때 한 배를 탔었던 국민의당을 적극 끌어들이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정의당은 물론 바른정당과 심지어 자유한국당에게도 입각 제의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야권 흔들기에 돌입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로 인해 당 존립마저 흔들릴 수 있다고 느꼈는지 국민의당은 돌연 외교안보 노선도 다른 바른정당을 향해 적극 통합론을 제의하고 나섰고, 바른정당 탈당파 입당 문제를 놓고 당 내홍까지 불거졌던 자유한국당에선 갑자기 탈당파 13명 모두를 일괄복당 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렇듯 4당 체제 하에서 원내 주도권을 놓고 저마다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원내교섭단체 정당 중 가장 규모가 작은 바른정당은 캐스팅 보트 역할을 통해 현 정국을 돌파해나가겠다며 일단 자강론으로 의견을 모았다.
 
소수정당인 바른정당 입장에선 단지 정치공학적 이유만을 명분으로 성향도 다른 국민의당과 통합해봐야 자칫 이용만 당한 채 들러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기에, 같은 보수 성향인 자유한국당이 통합에 적극 나서지 않는 상황에선 120석의 더불어민주당과 107석의 자유한국당이란 거대 정당 사이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는 것이 현재로선 가장 자당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원내 5분의 3 이상 찬성하지 않으면 어떤 쟁점 법안도 여야 협의 없인 처리될 수 없는데, 민주당이 국민의당과 합쳐 과반을 이룬다 해도 20석인 바른정당의 동의 없이는 일방적으로 쟁점 법안을 처리할 수 없고 107석의 자유한국당도 바른정당과 함께 하지 않고선 중도·진보진영의 쟁점 법안 통과를 저지할 방도가 없어 비록 바른정당이 교섭단체 기준을 겨우 충족하는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원내 힘의 균형을 좌우할 수 있는 실질적인 키를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른정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말만 제1야당일 뿐 식물정당이 될 공산이 큰 자유한국당은 이런 현실을 아직도 자각하지 못했는지 바른정당에 여전히 고압적 자세를 유지한 채 유일한 돌파구가 될 수 있는 범보수 합당에도 적극 나서지 않고 있어 뭇사람들의 개탄을 자아내고 있다.
 
향후에도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대통령을 비판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목소리를 도외시하는 현실 도피적 태도와 끝내 유례없는 보수 분열까지 초래한 잘못에 대한 반성조차 없이 허울뿐인 제1야당 타이틀과 대선 득표율 24%란 환상에만 매달린다면 다음 선거에선 여당 일부에서 지적한 대로 보수궤멸이란 종말을 피할 수 없음은 자명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