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인사청문회 불승인 유형, 기준 정해야”
주호영 “인사청문회 불승인 유형, 기준 정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 당에서 운영위 내 소위 구성해 고위공직자 인사 기준 설정 바라”
▲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인사청문회 승인, 불승인 유형을 국회 규칙으로라도, 원내대표 합의로라도 정해주면 여기 해당하면 통과 못한다는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25일 “국회에서 인사청문회 승인, 불승인 유형을 국회 규칙으로라도, 원내대표 합의로라도 정해주면 여기 해당하면 통과 못한다는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전체회의에서 “논문표절, 위장전입, 탈세, 병역의무 등은 국회에서 위원회를 만들어서라도 자진 사퇴하던지 운영해야 인사청문회에 대한 국민 신뢰도 확보되고 인선 혼란도 방지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인사청문회를 할 때마다 여야가 입장을 달리하며 여당일 땐 위장전입을 인정하고 넘어가자고 하고 야당일 때는 철저하게 태클을 거는 것을 반복해 왔다”며 “이 후보자가 비록 시간이 좀 오래 걸리긴 했지만 부인의 위장전입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이 상태로 여당이 인준을 강하게 요구하면 대통령의 공약이 첫 단추부터 깨어지는 그런 상황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 원내대표는 “위장전입이 통과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하고 이렇게 운영할 것이 아니라 이번 이 후보자의 인준 문제는 나중에 정하더라도 장관들, 국무위원들이 남아있다”며 “각 당에서 국회 인사청문회 기준을 정하기 위한 운영위 내 소위원회를 빨리 구성해서 전문가 의견을 듣고 바람직한 고위공직자 기준을 설정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