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 도입 시기 기준으로 한 점 꼬집어 강도 높게 비판

박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인사청문회 도입 시기인 2005년 7월을 인사 배제 기준시점으로 잡은 청와대를 겨냥 “청문회 도입 전에 있었던 것은 불문에 부친다는 얘기는 앞으로 ‘장관이 될 사람은 청문회에서 불거질 테니 조심해야 한다’는 건데, 청문회를 안 할 사람, 청와대 비서관이나 수석을 할 사람들은 마음대로 어겨도 되는 거냐”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투기(방지)나 교육평준화를 위해 위장전입을 방지하는데 그걸 하게 하면 정부 시책에 반기를 들게 하는 탈법과 똑같다”며 “아무 사람, 죄 짓고 비난 받는 사람이 장관을 하면 누가 법을 지키겠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위원장은 거듭 “고위공직자가 국민의 선망도 되고 귀감이 돼야 공직에 대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고 준법풍토를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며 “앞으로 장관이 되려는 사람만 위장전입을 하지 말고 5대 원칙을 지키라는 건데 말이 안 된다”고 청와대에서 제시한 새 인사 기준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당초 협조하기로 했던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과 관련해 본회의 표결 전 찬반을 당론화할지 여부에 대해 “논의해봐야 한다”면서도 “소신투표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라고 부연해 인준안 처리를 기대하던 정부여당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었다.
아울러 박 위원장은 최근 같은 당 의원들이 겪고 있는 문자폭탄 논란에 대해선 “욕설로 상대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 주거나 협박하는 게 과연 직접민주주의, 표현의 자유라고 해서 옹호되고 보호될 필요가 있나”라며 “모욕, 협박, 명예훼손이 있으니 그런 (법적 대응 같으) 걸 할 수 있나 찾아보고 있다”고 적극 맞대응에 나설 방침임을 천명했다.
한편 그는 당 수습을 내세워 혁신위를 구성하다가 자칫 전당대회까지 지연될 수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차기 전당대회는 우리 당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기에 일차적으로 (당을) 수습하고 그 다음 당이 가는 방향까지 정해 놓고 모든 역량과 기대를 갖추고 받는 상황에서 비행기가 높이 날듯 그런 방향으로 해야 한다”며 “비대위에서 아무 것도 안 하고 혁신도 안 한다면 비대위가 굳이 있을 필요가 없다”고 응수해 사실상 전당대회 지연도 불사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