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의 정권교체에 벅찬 감격과 무거운 책임 느껴, 국민에 무한책임질 것”

[시사포커스 / 오종호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우리당은 이번 국회에서 일자리추경과 오늘 논의하게 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추미애 대표는 5일 고위당정회의에서 “정권교체 이후에 첫 번째 고위당정청 회의가 열리게 되었다”며 “9년 만에 정권교체에 정말 벅찬 감격과 함께 무거운 책임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집권여당으로서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한책임의 자세로 이 자리에 섰다”며 “앞으로 고위당정회의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에 있어 당정청 간에 긴밀한 협의와 실질적인 집행을 담보하는 국정운영의 핵심기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의미를 뒀다.
추 대표는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당헌에 설치된 건 물론이거니와 문재인 대통령의 일관된 국정운영 철학이다. 국민과 약속한 정당책임정치에 대한 확고한 의지라 여겨진다”면서 “우리는 정권교체를 선택해주신 국민들께 한없는 존경과 감사의 마음 갖고 있고, 국정전반을 오직 국민의 삶을 중심에 놓고 국정운영을 펼쳐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정부들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고 당정청이 하나가 돼 일하는 정부, 소통하는 정부, 신뢰받는 정부가 되어야 할 것”이라며 “문재인정부의 성공은 다름 아닌 당정청 간의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사회대개혁과 국민대통합의 동력을 모아나갈 때 가능할 것이다. 그 중심에 고위당정회의가 있다는 무거운 책임감과 인식으로 임해주실 것을 총리님과 청와대에 각별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추 대표는 “협치 국회의 근간은 당청간의 긴밀한 협력체계다. 누구나 협치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시작부터 협치를 위한 협치에 빠지고 있지 않나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며 “지금 시점은 협치의 목적 분명히 해야 할 때이다. 협치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민생을 위한 협치, 국민을 위한 협치여야 될 것이다. 우리의 정체성과 지향을 분명히 하고 이를 대화와 타협으로 관철해내는 것이 협치의 과정이고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집권당으로서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성공을 위해 국민의 편에 서서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민심파수꾼 역할을 다하겠다”며 “그 과정에 크고 작은 이견도 있을 수 있을 것이지만 우리당이 민주적 역량으로 그 이견을 더 풍부한 대안으로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우리당은 이번 국회에서 일자리추경과 오늘 논의하게 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또한 조속한 시일 내에 내각구성이 완료돼 본격적인 국정운영이 가동될 수 있도록 당력을 최대한 집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는 “나라를 나라답게,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대장정에 당정청 간에 무한신뢰와 무한책임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