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국민의당, 인사청문·추경 대응 공조 모양새
한국당·국민의당, 인사청문·추경 대응 공조 모양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당 “우리 뺀 추경심사, 비정상”…국민의당 “한국당 배제 추경 논의 반대”
▲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이 25일 추경심사 대응은 물론 김상곤 교육부장관, 송영무 국방부장관, 조대엽 고용노동부장관에 대한 사퇴요구에도 한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이 25일 추경심사 대응은 물론 김상곤 교육부장관, 송영무 국방부장관, 조대엽 고용노동부장관에 대한 사퇴요구에도 한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다.
 
한국당 소속인 국회 국방위원회의 김학용,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임이자,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염동열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 국방부,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들 뿐 아니라 이들을 내정한 청와대를 향해 맹렬히 질타했다.
 
김학용 의원은 송 후보자를 둘러싼 거액 자문료, 계룡대 군납비리 사건 무마, 위장전입 등의 의혹을 일일이 열거하고 나서 “이런 사람을 후보자로 내세운 건 국민과 대한민국 군에 대한 모독”이라며 “지금이라도 대통령은 계속되는 부실검증에 대해 조국 민정수석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어 “대한민국 역대 국방장관 후보자 중 송 후보자보다 문제가 많은 후보자는 없었다.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송 후보자에 대한 청와대의 즉각적인 지명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아울러 송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뒤이어 임이자 의원은 조 후보자를 겨냥 “지금까지 밝혀진 음주운전 전력과 한국여론방송 사외이사 등재만으로도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며 “고용부는 산업현장의 법위반 감독기관으로서 그 수장의 준법정신은 매우 중요한 자격요건이지만 조 후보자의 확인된 의혹과 법위반 사항만 봐도 자격이 없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같은 당 염동열 의원은 김 후보자를 표적으로 삼았는데, “문 대통령이 만들고자 하는 나라다운 나라는 논문을 표절하고 뇌물을 업무추진비로 사용하고 사회주의를 추종한다는 좌편향 인사가 교육장관이 되어야만 만들 수 있는 나라냐”라며 “도덕성과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심각하게 해칠 수 있는 ‘좌편향 뇌물 논문표절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한국당 뿐 아니라 국민의당에서도 같은 날 이들 세 명의 장관후보자에 대해 청와대의 지명철회나 후보자들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는데, 이태규 국민의당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런 국민 기만 3종세트를 갖고 국회에서 청문회를 하는 것은 정말 굴욕적이고 난센스”라며 “후보자들이 최소한 도의적 책임을 느낀다면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 사무총장은 문 대통령에게도 “문 대통령의 인사는 정확히 코드와 보은인사”라며 “문 대통령은 즉시 지명을 철회하고 국민과 야당에 사과하라”고 압박을 넣었다.
 
아울러 한국당과 국민의당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자유한국당의 추경 심사 거부에 맞서 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과 내주 중 추경 심사에 들어가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서도 함께 성토했다.
 
한국당의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6·25전쟁 제67주년 행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나라 예산을 할 때는 여야 간 협의해서 원만하게 풀어나가야 한다”며 “비정상으로 가서는, 특히 협치가 기대되는 마당에 일방적인 것은 옳지 않다”고 일침을 가했다.
 
국민의당 역시 김유정 대변인이 이날 이태규 사무총장과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항간에 한국당을 배제하고 (예산심사에) 국민의당·바른정당이 함께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에 찬성하지 못한다”며 “여야가 머리를 맞대는 게 맞다.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할 만큼 중요한 문제이니 여당의 정치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은 두 야당의 이 같은 공조 움직임을 의식한 듯 제윤경 원내대변인 논평을 통해 국민의당을 겨냥 “국민의당은 한국당을 반대 야당으로 비판하면서도 민주당의 정치력을 공격하고 있다”며 “대안 없는 양비론 속에 갇혀 결과적으로 국정 공백을 장기화하려는 한국당의 파트너가 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