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에 매출 불가피 타개책으로 해체시장 진출 노릴 듯

국내에선 원전이 영구 정지된 적이 없어 원전해체 시장에 국내 기업들이 발을 들이대지 못했다. 하지만 고리원전 1호기 해체를 기점으로 원전 해체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됨에 따라 원전 시공능력이 있는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건설업계 및 원전 플랜트를 납품하는 두산중공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440조원이다. 국내는 우선 고리원전 1호기 해체비용에 643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밀폐관리와 철거에 3918억원,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에 2519억원 등이다. 시설물에 대한 본격적인 해체 작업이 시작되는 것은 2022년6월부터다. 2030년12월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증권업계 따르면 국내 원천해체 시장은 2030년 원전 12기가 수명이 다해 영구정지 될 경우 시장 규모는 7조원 이상이고 가동원전 25기 기준으로 15조원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국내기업들도 원전 해체 신사업 진출을 노리고 있다. 우선 두산중공업은 올해 2월 '(발전) 서비스 사업부문'(Business Group)을 신설하고 2015년 원전해체 전문기업인 독일 짐펠캄프사와 사업협력협약을 맺어 원전 해체 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착실히 진행 중이다.
원전 주기기 제조에 경쟁력을 지닌 두산중공업은 고리1호기에 최적화된 원자로 절단기술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국내 원전 해체 시장 수주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올해 매출 3000억원의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증권업계 전망이 나오면서 이를 상쇄하기 위해 원전해체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원전을 시공한 현대건설은 해체실적이 없어 해외 선진업체와 협력 방안 모색과 더불어 ?플랜트사업본부 원자력사업단 내 TF(태스크포스)를 꾸려 대응전략을 마련 중이다. 원전 준공 참여한 경험을 갖고 있는 대림산업은 금속구조물, 수중해체 절단,대형기기 절단 해체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