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 놓고 명암 엇갈려

27일 저녁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을 겸한 비공개 간담회에서 금춘수 한화그룹 부화장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탈원전 정책을 놓고 각각 태양광 사업과 원전 사업에 관한 입장을 전달했다. 이날 발언을 종합해보면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서 한화그룹과 두산그룹의 처지가 뒤바뀐 모양새다.
박정원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신고리5,6호기 공사 중단에 따른 그룹 매출 타격의 어려움을 전달했다. 그러면서 해외진출을 모색하겠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박 회장은 “만약 신고리 5·6호기를 중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면 주기기를 공급하는 두산중공업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질 것이다”면서도 “해외에서 사업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도록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의 이날 발언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그룹 매출 타격 우려에 무게를 둔 것으로 중단 시 해외진출을 모색하겠다는 나름의 대응책도 말했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아쉬움을 표현했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은 박 회장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그룹의 매출 타격의 우려에 대해 이렇다 할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짤막한 답변으로 갈음한 것으로 볼 때 신고리 5,6호기 공산 중단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탈원전 정책으로 수혜를 입는 곳은 신재생에너지다.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전제발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태양광 사업에 적극적인 한화그룹으로선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반가울 수밖에 없다.
이날 금춘수 부회장은 한화그룹이 밀고 있는 태양광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금춘수 부회장은 “그전에는 고전했는데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 지원을 해주고 있어서 힘 받고 있다”며 “전체 발전량 준 태양광 발전이 차지하는 여건이 5%가 안되지만 앞으로 좀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태양광 발전 입지 조건을 완화시켜 주시면...”이라며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