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부 결정에 이재용 부회장 복귀 여부 주목

3일 이재용 부회장의 피고인 신문이 마무리되면서 재판부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선실세 최순실씨에 대한 뇌물 공여 혐의로 기소된 이재용 부회장에게 어떤 결론을 내릴지가 최미의 관심사다.
최근까지 진행된 재판 진행을 보면 이 부회장은 현안청탁과 뇌물지원에 대해 시종일관 부인하는 입장을 취했다. 박 전 대통령과의 독대한 자리에서 경영권 승계 작업을 언급한 사실도 없고 이와 관련 박 전 대통령이 도와주는 대가로 정유라 지원 요구도 없었다는 게 이 부회장의 주장이다. 최순실씨나 정유라에 대해 아는 바가 없기에 승계 대가로 정유라를 지원했다는 특검팀의 논리를 부인한 셈이다.
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미래전략실(미전실)에 대해선 자신(이 부회장)의 결정사항이 아닌 미전실과 두 회사간의 결정으로 선을 그었다.
지난 2일 피고인으로 나온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이 정유라의 승마 지원 결정은 이 부회장 경영승계를 위한 대가성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답변과 일치한다.
최 전 실장은 최순실씨 관련 지원과 관련 “미래전략실의 최종 결정권자는 본인이었으며 이 부회장의 승계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장충기 전 미래전략실 차장과 박상진 사장 역시 이 부회장은 관여한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종합해보면 정유라 승마지원과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건은 이 부회장이 관여한 사실도 없고 아무것도 모르고 미래전략실에서 주도한 것으로 모든 책임은 최지성 자신에게 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최 전 실장이 ‘이재용 구하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일련의 사태에 대해 모든 책임을 떠안으며 총수일가를 보호하기 위한 ‘총대메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이런 모습은 2008년 삼성 특검 당시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2인자’로 불렸던 이학수 전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비자금 혐의에 대한 대부분의 책임을 안고 실형을 선고 받았다. 당시 이건희 회장은 불구속 기소돼 징역3년과 집행유예 5년 벌금1100억원을 선고받고 4개월 지난 이후 특별사면 된바 있다.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재판부가 이재용 부회장측의 주장을 얼마나 인정할지 여부에 따라 계속 수감될지 아니면 석방될지가 결정된다. 8월 말경 1심 선고가 내려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