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올 9월까지 경상수지 누적적자도 8천만달러로 축소돼 연간 경상수지 흑자달성 전망이 힘을 얻게 됐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13억7천만달러의 흑자를 기록, 3개월만에 흑자로 반전됐다.
이 같은 흑자폭은 지난해 11월 22억달러 흑자에 이어 10개월만에 최대치다.
경상수지는 지난 6월 9억4천만달러의 흑자를 보인 뒤 7월 3억9천만달러 적자, 8월 6억3천만달러 적자 등 두달 연속 적자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는 8천만달러의 적자로, 전월 13억3천만달러 적자보다 적자폭이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 기간 111억달러의 흑자를 낸 것과는 여전히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처럼 경상수지 흑자폭이 늘어난 것은 경상수지 호조를 지탱해왔던 상품수지가 수출 호조로 흑자가 대폭 확대된 데다, 8월 계절적 요인으로 월간 기준 사상최대 적자를 기록했던 서비스수지가 전달보다 축소된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실제로 9월 상품수지는 자동차, LCD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호조를 보이면서 흑자규모가 전월보다 17억9천만달러 늘어난 32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흑자는 지난달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으며 지난해 11월의 31억8천만달러 이후 최대를 나타내 9월 경상수지가 3개월만에 흑자로 전환되는데 1등 공신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 정삼용 국제수지팀장은 "10월초 추석 연휴로 인해 9월말에 수출물량이 집중되면서 9월 상품수지 호전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다"며 "10월에는 영업일 수가 줄고 이같은 특수요인이 사라지면서 9월보다는 다소 흑자폭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팀장은 "그러나 10월 역시 작년동기 대비 두자릿수 증가율이 유지될 것으로 본다"며 "영업일 수를 감안해봤을 때 수출 엔진이 아직 좋다"고 말했다.
서비스수지는 16억6천만달러 적자로 전월보다 적자규모가 4억3천만달러 줄어들었다.
여행수지 중 지급액이 15억9천만달러로 전월 대비 약 3억달러 가량 줄어든 것이 적자감소의 원인으로 보인다.
즉 7~8월 해외여행 성수기가 마무리되면서 여행수지 적자폭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경상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정 팀장은 "여름휴가 시즌이 끝난 9월이 서비스수지 측면에서는 정상수준"이라며 "10월에는 추석 연휴 여파로 일시적으로 적자폭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소득수지는 전월보다 흑자규모가 소폭 줄어든 2억5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경상이전수지는 적자규모가 전월보다 1억5천만달러 확대된 4억6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자본수지는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의 해외 중장기채권발행 등으로 18억1천만달러 순유입을 나타냈다.
한편 9월 중 계절조정 경상수지는 3억9천만달러 흑자였다.
정 팀장은 "한은이 앞서 내놓은 연간 기준 경상수지 40억달러 흑자 전망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