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근방에 기기 설치 해야한다 주장
환경방사능을 측정해 유해 수준 여부를 알려주는 환경방사능측정기 보유기 수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영선 의원(경기 고양 일산 을)은 27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국내에 설치된 환경방사능측정기는 모두 38기로 네덜란드의 1/4(153기), 일본의 1/6(224기), 독일의 1/53(2019기)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밝혔다.김 의원은 "단위면적당 측정기 수 역시 일본 1.5배(0.6기), 네덜란드 10.25배(4.1기), 독일 14.25배(5.7기) 수준으로 원자력 선진국에 비해 절대·상대수치 모두 낮다"며 "일정 권역 내에 몇 개의 측정소가 있느냐의 문제는 데이터의 편차를 줄여 신뢰수준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므로 환경방사능측정소를 확충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측정기 확충 계획과 관련, 김 의원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제시한 확충 계획에 따르면 측정기가 서·남해안에 집중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며 "얼마 전 북 핵실험이 있었고 매년 북부대륙 지역에서 동해로 불어오는 대륙풍을 감안할 때 동해 근방에 기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환경방사능측정시스템은 현재 전국에 있는 38개의 환경방사능측정소를 통해 샘플을 포집·분석해 정확한 국내 방사능 준위를 측정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