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대금 인하 수용 시 헐값 비판 나올 듯…기회잡은 박삼구 회장

지금까지 진행된 상황만 놓고 보면 불리했던 박삼구 회장측이 기사회생한 모습이다. 반면 산업은행은 막강한 패를 쥐고도 패 한번 제대로 써보지도 못하고 ‘헐값매각’이라는 '독박'만 쓰게 될 처지에 놓였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더블스타가 매각가격을 종전 955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낮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판 자체를 뒤흔들었기 때문이다. 노조와 지역민심은 금호타이어 해외매각을 반대하며 매각 판 훈수 역할로 일단 박삼구 회장측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어 줬다.
금호타이어 매각에 판을 깐 곳은 산업은행으로 박삼구 회장측이 1조원에 안팎의 매각대금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더블스타가 선정됐다.
금호산업 인수로 실탄을 소비한 박 회장측은 금호타이어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 패를 꺼내들었지만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제3의 기업과 컨소시엄을 이뤄 인수에 나서는 것은 안된다며 패 자체를 무력화했다.
산업은행이 더블스타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이후 박 회장측은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못하면서 본 계약을 체결할 할 것이란 흐름은 상표권 문제로 복잡한 양상으로 흘러갔다. 상표권 문제는 박 회장이 쥔 최후 패로 산업은행 및 채권단을 혼란에 빠트렸지만 산업은행이 채권만기 연장 카드를 꺼내들며 팽팽한 기싸움을 펼쳤다.
그런데 현재 판 자체를 바꾼 것은 이동걸 산업은행장 퇴진, 지역민심과 노조의 매각 반대, 결정적으로 금호타이어 실적 악화다. 금호타이어 2분기 적자전환이 되며 기업가치 하락으로 이어지자 더블스타는 매각가 인하를 요구했다.
초반에 비하면 현재로선 박 삼구 회장측이 좋은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매각 대금 인하 시 되살아나는 우선매수권 외에도 윤장현 광주시장이 해외부실 매각 반대 지역 분위기를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전달한점도 금호타이어 인수 기회의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더블스타가 요구한 매각가 인하 요구를 받아들이면 채권단에 수중에 들어오는 돈은 5천300억원으로 줄어든다. 인하가격 1500억원에 상표권 사용료 2700억원을 무상으로 지원하겠다고 한 만큼 더블스타는 가격을 낮춰주면 인수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헐값 매각’이라는 비판을 무릅쓰고 매각 인하 요구를 받아들일지 고민이 이어지고 있다. 산업은행은 22일 예상됐던 금호타이어 매각 인하 논의를 위한 주주협의회를 잠정 연기했다. 매각가가 조정되면 박삼구 회장의 우선매수권은 되살아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