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와 식약처로 이분화 된 식품 안전·행정에 대한 근본적 해법 필요”

이정미 대표는 25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살충제 계란 파동’ 근본대책 마련을 위한 긴급 간담회에서 “농림부와 식약처로 이분화 된 식품 안전·행정 또한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국민의 분노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면서 “온 국민이 매일 같이 사용하는 식재료에 이런 문제가 벌어졌다는 것이 믿기지 않고, 관리당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져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살충제 계란 파동과 관련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교훈을 삼아야 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백서를 발간하라는 지시를 했다”면서 하지만 식약처가 스스로 백서를 발간한다고 해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교훈을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서 “오히려 이번 사태를 규명하기 위한 감사원의 감사가 있어야 한다”면서 “지난 정부에서 식약처가 이미 이 사태를 파악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정부의 몇 가지 조치만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이제는 적극적인 입법으로 대형축산업에 허가제를 도입하고, 사육방법과 시설에서도 위생 및 동물복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관리·감독도 철저해야 한다. 고통 받고 자란 가축이 인간에게 이로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식품 안전사고가 가공·유통 단계 이전, 농장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식품안전을 계속 식약처에만 맡기는 점도 문제가 있다”면서 “농림부와 식약처로 이분화 된 식품 안전·행정 또한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이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은 2005년 노무현정부에서 추진하다 중단됐던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안전행정을 일원화하겠다는 부분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면서 “농림부를 농축산 식품 안전을 책임지는 부처로 탈바꿈시켜, 소비자 안전이 농장에서부터 보장되도록 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 대표는 “농약과 같은 독성 물질에 대한 관리감독 역시 개선되어야할 부분”이라면서 “가습기 살균제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독성물질에 대한 관리감독이야말로 정부가 핵심적으로 책임져야할 분야”라고 지적했다.
그는 “독성위해물질인 농약은 환경부가 관리감독하고, 환경생태영향 및 동식물과 사람에 대한 유해성을 분석해 생산금지나 회수 등의 조치도 취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동물복지단체의 요구와 더불어 생산자의 목소리, 환경농업단체의 원칙 그리고 축산대 교수님의 제도 개선 방안까지 다양한 입장을 듣겠다”며 “국민 식생활 안전의 공백을 메꿀 수 있도록 정의당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