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총수’ 부정적 이미지로 글로벌 투자 족쇄 될 수도

네이버는 4일 “총수 지정과 관련해 현재 원론적인 수준에서 행정 소송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총수 없는 집단’지정을 촉구해온 네이버로선 공정위 결정이 시대착오적인 결정이라며 유감을 표한 동시에 한 발 더나아가 행정소송 까지 검토하면서 ‘총수 지정 없는 집단’에 사활을 거는 모양새다.
네이버가 이해진 전 의장을 총수로 지정한 공정위 결정에 반발하는 것은 글로벌 경쟁력 위축 우려다.
공정위는 자산 5조원 이상 기업을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으로 네이버를 지정하면서 이해진 전 의장을 기업을 지배하는 동일인(총수)로 지정했다. 네이버는 라인플러스 등 주요계열사 실적 개선과 인수 분사를 통해 계열사가 늘어나면서 자산 규모가 5조원을 넘어섰다.
이 전 의장은 최근까지 유럽 인공지능전문회사인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 인수, 미래에셋대우와 5000억원규모의 지분맞교환을 통해 1조원규모의 신규투자재원을 확보하면서 글로벌화에 보폭을 넓히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공정의 총수 지정은 글로벌화에 족쇄를 채워 글로벌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게 네이버의 판단이다. 네이버는 이런 이유를 들어 네이버를 총수 없는 대기업으로 지정해달라고 공정위에 요청해왔다. 그런데 지난 1일 공정위가 이 전 의장을 총수로 지정하자 바로 대응에 나선 것이다. 국내 ‘재벌 총수’라는 이미지가 부정적 이미지가 강하다보니 해외사업에서 부정적 이미지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