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로 국정 운영해야”
김동철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로 국정 운영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 시스템으로 운영돼야…靑, 정책 사후적 평가자 역할 하라”
▲ [시사포커스 / 이광철 기자]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로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6일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로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아무리 대통령이 현명하고 능력이 뛰어나다 한들 사회 곳곳의 현안을 속속들이 잘 알 수도 없고 모든 사안을 완벽히 처리할 수도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 한 사람의 힘으로 국정이 운영된다면 장관들은 대통령의 입만 쳐다보고 청와대 지시에만 귀를 기울이게 된다. 국정은 시스템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청와대는 국정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부처 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국정조정자, 정책에 대한 사후적 평가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라”고 당부했다.
 
또 김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공약 이행과 관련해서도 “실현이 어렵다고 판단된 것들은 과감하게 수정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하라”며 “임기 내 성과에 매달리면 실패한다. 약속을 멈추고 실천방안에 집중하기 바란다”고 충고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 사회 거의 모든 문제가 구조적 문제”라며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고통분담을 호소하고 산업과 공공부문 구조개혁에 우선적으로 나서야 한다. 조급해 하지 말고 긴 호흡으로 야당의 협력을 구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거듭 문 대통령을 향해 “당장의 열매에 집착하지 말고 20년 후에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가 그러한 길을 간다면, 국민의당은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비판할 것은 비판하되 협력할 것은 누구보다 앞장서서 협력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한편 그는 현 정부의 인사와 관련해선 “장관급 인사의 58%,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의 66%가 참여정부 출신, 운동권과 캠프출신 인사들로 채워졌다. 국민여론과 동떨어진 코드인사의 전형”이라며 “인사는 만사이자 국정의 시작이다. 청와대 인사추천과 검증에 완벽하게 실패한 책임자들부터 즉각 전면 교체할 것을 촉구한다”고 청와대 인사라인 쇄신을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