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배터리 제재에 삼성·LG·SK ‘죽을맛’ 어려움 호소
中 배터리 제재에 삼성·LG·SK ‘죽을맛’ 어려움 호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산 배터리 장착 전기차 보조금 지급 제외 7개월째 지속
▲ LG화학,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중국 정부의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LG화학,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중국 정부의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들 3사는 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쉐라톤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이차전지업계 간담회에서 중국 정부의 전기차 배터리 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다. 정부도 국내 이차전지 업계가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적극 나서기로 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가 중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는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 중국 정부의 조치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작년 12월 29일 이후 7개월째 보조금 지급을 중단해 오고 있다.

중국 전기차의 경우 차량 가격에서 보조금이 해당하는 가격이 최대 절반을 차지하기 때문에 보조금 지급 중단은 곧 전기차 판매에 어려움으로 연결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 들어 8번째로 순수전기차(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등 95개사 273개의 차종을 선정하는 친환경차 보조금 지급 대상을 발표하면서 LG화학·삼성SDI 등 한국업체가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에 국내 배터리 업체는 반발하고 있지만 중국정부는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한국업체를 제외했는지 분명한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국과 접촉해 해결에 나서고 있지만 해결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일각에선 사드 배치 영향으로 중국 정부가 보복 조치 일환으로 한국업체를 제외시킨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이처럼 국내 배터리 업체 어려움이 가중되자 이날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이 강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올해 중으로 ‘이차전지산업 혁신 및 상생협력 방안’을 수립해 이차전지업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LG화학,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오창(LG화학), 울산(삼성SDI), 서산(SK이노베이션)의 생산설비 증설과 신규 구축에 2조원, 2020년까지 전기차용 이차전지 성능 혁신과 고도화 등 기술개발에 약 6천1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간담회에는 이웅범 LG화학 사장, 전영현 삼성SDI 사장, 윤예선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대표 등 배터리 3사와 이차전지 소재·장비업체 등이 참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