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이수 부결...국회 적폐연대, 탄핵에 대한 보복”
민주 “김이수 부결...국회 적폐연대, 탄핵에 대한 보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완주·강훈식 “자유한국당의 몽니, 바른정당의 공조, 국민의당의 야합으로 인준안 부결”
▲ 더불어민주당이 김이수 헌법재판소장의 인준안 부결에 대해 “국회에 잔존해 있는 적폐”라면서 “정권교체에 대한 불복이고 탄핵에 대한 보복”이라고 규탄했다. 사진은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이 부결되자 환호성을 지르는 자유한국당 의원들. 사진 유용준 기자
[시사포커스 / 오종호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김이수 헌법재판소장의 인준안 부결에 대해 “국회에 잔존해 있는 적폐”라면서 “정권교체에 대한 불복이고 탄핵에 대한 보복”이라고 규탄했다.
 
박완주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1일 오후 브리핑에서 “김이수 헌법재판소장의 인준안이 부결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국민 여러분께 정중히 사과드린다”면서 “더불어민주당 120명 의원이 똘똘 뭉쳤지만 자유한국당의 몽니와 바른정당의 공조, 국민의당의 야합에 따라 오늘 인준안이 부결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헌법재판소장 인준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였다”면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유린된 헌법을 바로 세우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기틀을 닦을 수 있었던 것은 헌법재판소가 제 기능을 다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런 의미에서 223일 동안 이어진 헌재소장 공백 사태는 시급히 정상화되어야 할 과제였다”면서 “그러나 오늘 자유한국당은 역시 자유한국당 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자유한국당이 국회에 복귀하자마자 첫 번째 한 일은 헌재소장을 부결시켜 결국 국회를 난장판으로 만든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이것은 명백히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정치적 보복이고, 정권교체에 대한 불복의 의도가 있는 것”이라며 “이것이야말로 국회에 잔존해 있는 적폐가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일갈했다.

그는 “자유한국당이 잠시 쾌재를 부를지 모르지만 결국 국민의 무서운 민심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자유한국당과 보조를 맞춘 국민의당도 적폐연대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경고했다.

박 대변인은 “엊그제 국민의당이 2박 3일 호남투어 일정을 마친 결과가 결국 헌재소장 부결이었다는 것에 동의할 호남 민심은 없을 것”이라며 “국민의당의 반대투표가 개별적 판단에 따라 이뤄졌다고 하지만, 캐스팅보드를 쥐고 자신들의 존재감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 외에 무엇이 있었단 말인가”라고 질타했다.

강훈식 원내대변인도 오후 브리핑에서 “오늘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박근혜정권의 국정농단이라고 판단한 헌법재판소를 무력화한 날”이라며 “적폐청산이 국회에도 필요한 것은 아닌지 국민은 의심하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헌법재판소에 의해 국정농단 세력이 탄핵된 것에 야당은 조직적으로 반발했다”며 “이는 촛불민심에 역행하는 행태이며 정권교체에 대한 불복, 탄핵에 대한 보복”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더구나 문재인 정부의 ‘호남 홀대’를 주장해온 ‘안철수 국민의당’이 유일한 호남출신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반대한 것이야말로 국회의 ‘호남 홀대’를 국민의당이 결정한 것”이라며 “오늘은 ‘안철수 국민의당’이 협치가 아닌 ‘자유한국당과 적폐연대’의 역할을 선언한 날”이라고 꼬집었다.

강 대변인은 “6자 핵실험 할 때는 국회를 내팽개치더니, 국회에 복귀한 첫날 몇 달 동안 공백상태이었던 정부기관이며, 인권 보호와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할 헌법재판소를 마비시킨 제1야당의 행태에도 국민은 공분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