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UN 대북결의안 환영·북한에 비핵화와 평화 촉구
정부, UN 대북결의안 환영·북한에 비핵화와 평화 촉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의 근원적 비핵화와 한반도내 항구적 평화 정착 위한 노력 지속 경주”
▲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 결의 2375호 채택을 환영하며,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의 경고를 받아들이고 비핵화와 평화의 길로 조속히 나올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유엔 안보리는 이번 결의를 통해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중대한 도전인 북한의 무모하고 무책임한 핵개발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재차 표명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의미를 뒀다. ⓒ외교부
[시사포커스 / 오종호 기자]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 결의 2375호 채택을 환영하며,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의 경고를 받아들이고 비핵화와 평화의 길로 조속히 나올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외교부를 통해 12일 ‘안보리 결의 2375호 채택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해 결의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것을 환영하고 지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유엔 안보리는 이번 결의를 통해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중대한 도전인 북한의 무모하고 무책임한 핵개발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재차 표명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의미를 뒀다.
 
이어 “북한은 계속된 도발은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압박을 심화시킬 뿐이라는 국제사회의 준엄한 경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며 “북한은 오직 비핵화의 결단만이 자신의 안보와 경제 발전을 보장받는 길임을 깨닫고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가 제시하는 비핵화와 평화의 길로 조속히 나와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또 “정부는 이번 결의 2375호를 포함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들이 철저히 이행되도록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며 “북한의 근원적인 비핵화와 한반도내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도 지속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2일 오전(뉴욕 현지시간 : 11일 오후)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유엔 헌장 7장 41조(비군사적 제재)에 따라 강력한 제재조치를 담은 결의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안보리 결의에는 ▲대북 유류 제공 제한, 북한의 섬유 수출 금지 등 새로운 제재조치 도입 ▲기존 결의상 제재조치를 확대·강화 ▲제재대상 개인·단체를 추가 지정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었고 특히, ▲대북 정유제품 공급량에 연간 상한선(2017년 10월~12월간 50만 배럴/ 2018년부터 연간 200만 배럴) 부과 ▲대북 원유 공급량을 현 수준으로 동결 ▲콘덴세이트 및 액화천연가스 공급을 전면 금지 조치를 도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