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간첩단 ‘일심회’ 사건과 관련 구속수사를 받고 있는 이정훈 민주노동당 전 중앙위원이 면회한 지인을 통해 “나도 모르는 상을 내가 받았다는 둥 신기한 내용이 많다”며 일심회와 자신이 무관함을 호소했다.
지난 3월 북한공작원을 접촉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는 이 전 위원은 자신이 출판한 영어교재의 시장조사를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고 주장했다. 국가정보원은 장민호 씨가 만든 일심회가 북한의 지령을 받아 민주노동당의 정책이나 시민단체 활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전 위원은 그 과정에서 민노당 서울시당의 동향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원은 이 전 위원이 일심회 총책 장민호 씨의 주선으로 중국에서 만난 북한 대외연락부 간부로부터 3천달러(한화 280만원)를 받은 혐의를 새로 포착했다. 국정원은 2일 동행한 사업가 손정목 씨와 함께 이들 3명의 구속수사기간을 늘려줄 것을 서울중앙지법에 신청했다.
국정원은 나머지 구속자 2명도 3일 구속기간 연장을 신청할 예정이다. 구속기간 연장 신청은 국가보안법 위반사범에게만 적용된다.
국정원은 이날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일심회 조직원들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확대하고 북한으로부터 건네받은 공작금의 흐름 파악을 위한 금융계좌 추적 대상자도 늘릴 예정이다.
한편 변호인단은 “최근 김승규 국정원장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수사중인 사건을 ‘간첩단 사건’으로 규정하고, 사건 관련자들의 피의 사실을 공표한 것은 국정원법과 국정원직원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조만간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민노당 관계자들도 장민호 씨를 포함 거론되는 인물들이 “눈에 띄는 활동도 없었고, 당내 영향력도 매우 약했다”며 국정원의 주장이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간첩혐의자, 민노당·시민단체 영향력 없어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