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매뉴얼에는 상세히 기술…국내는 1장 문건이 전부

13일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이같은 의혹을 제기하며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미국 세타2엔진 리콜 매뉴얼’ 자료와 ‘국토부가 확보하고 있는 국내 세타2엔진 리콜 매뉴얼’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대차는 미국에서 2015년 47만대와 2017년 130만대 총 두 차례에 걸쳐 세타2엔진의 리콜 계획을 발표하고 상세한 리콜 매뉴얼을 제작해 美 도로교통안전국에 제출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는 2015년 ‘현대 쏘나타 GDI 엔진 결함 리콜 캠페인’이라는 제목의 10장짜리 문건을 제작했다. 이 문건에서 현대차는 딜러는 해당 차량이 점검이나 수리를 위해 판매점에 도착할 때마다 리콜 캠페인을 수행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고, 2017년에도 ‘리콜 모범 운영 가이드’라는 제목의 15장짜리 문건을 제작하고 현대차는 안전한 리콜 점검을 충실히 수행하고, 필요시 엔진을 교체한다는 내용을 밝혔다.
각각의 매뉴얼에는 점검 결과 및 서비스 절차가 사진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돼 있고 美 도로교통안전국 홈페이지에 게재돼 있어 미국 소비자들은 차량이 어떤 방법을 통해 점검이 되고, 어떻게 조치되는지를 상세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반면, 국내 소비자들은 리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조차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박 의원은 설명했다.
박 의원은 “반면 국내는 소비자들이 확보할 수 있는 자료는 없고 국토부가 현대차로부터 제출받아 확보하고 있는 자료는 ‘세타2 GDI엔진 시정조치 점검 방법’이라는 1장짜리 문건이 전부였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현대차는 안전과 직결된 사안임에도 이 문제조차 우리 국민을 미국 국민과 차별하고 있다”라며 “국토부도 현대차가 사실상 같은 사안을 처리하면서 미국과 처리방식을 달리하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무능함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현대차는 지난 4월 국토부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각각 17만대, 130만대의 세타2엔진 리콜을 신청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