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건전한 정부비판을 정권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낙인찍어 블랙리스트로 관리”

김현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국정원 적폐청산TF에서 2009년 원세훈전국정원장 시절 공영방송 인사에 대한 동향 파악은 물론 구체적인 인사 개입 방향을 담은 다수의 문건을 생산했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언론탄압 문건에는 ‘일괄 사표를 받고 나서 선별적으로 수리하는 방식으로 핵심 경영진을 교체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며 “2008년 2월 선출된 엄기영 사장은 문건의 계획대로 2009년 12월 임원 8명과 함께 재신임을 묻겠다면서 일괄 사표를 냈고 이후 김재철 사장이 임명되는 등 전광석화처럼 진행됐다”고 밝혔다.
또 “‘언론장악 문건’에는 공영방송 고위 간부들의 성향 파악과 부당한 인사 개입, 광범위한 일선 PD의 성향 조사 등 언론의 건전한 정부비판을 정권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낙인찍어 MB블랙리스트로 관리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검찰은 MB정권하에서 자행된 언론탄압의 실체적 진실을 제대로 밝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법의 심판대에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이미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는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국정원의 MBC 장악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조사에 착수했고, 그 결과 광범위하고 충격적인 개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그동안 알려졌던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라디오, 예능, 드라마까지 세밀한 개입 시도가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일부 보수야당은 방송공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언론탄압이라는 얼토당토않은 주장을 하고 있다”며 “과거 자신들이 저지른 방송의 편성과 제작권 침해, 블랙리스트 작성 관여 등 언론장악에 부역한 사실을 국민들께 사과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5일 이명박근혜 정권하에서 벌어진 방송장악 등 언론적폐 사건을 진상규명하기 위해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했다”면서 “자유한국당은 공영방송의 언론정상화에 적극 협력하여 빠른 시일 안에 여야합의로 국정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국회에서 협조할 것을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