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국정교과서' 누가 왜 만들었나?...진상조사위 출범
朴정부 '국정교과서' 누가 왜 만들었나?...진상조사위 출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촛불혁명에 담긴 상식과 원칙...정의로운 대한민국 만들기
▲ 조사위는 공정하고 정확한 사실 조사를 위하여 교육계, 사학계뿐만 아니라, 일반국민의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위원 15인으로 구성했으며 위원장은 고석규 전 목포대학교 총장이 맡는다 / ⓒ교육부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가 공식 출범한다.

25일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정기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직접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뒤 향후 위원회 활동계획 및 진상조사 추진계획 등에 관하여 논의할 계획이다. 

출범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는 촛불혁명에 담긴 상식과 원칙이 바로선,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

특히 그동안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바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 들어 마련됐다.

조사위는 공정하고 정확한 사실 조사를 위하여 교육계, 사학계뿐만 아니라, 일반국민의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위원 15인으로 구성했으며 위원장은 고석규 전 목포대학교 총장이 맡는다.

또 진상조사위원회는 이날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약 6개월 간 운영되며, 월 1회 정기위원회를 개최하여 주요사안에 대하여 논의하게 된다.

더불어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 조사의 주요 조사과제를 제시 및 확정하며, 조사결과를 검토하고 처리방안을 심의하며, 향후 재발방지 대책에 대한 연구 및 제안을 하고, ‘(가칭)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백서’ 발간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출범과 함께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앞으로 공정하고 중립적인 조사를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진상이 규명되어 교육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도록 성실하게 활동해 주시길 당부 드린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