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성공한 정부되려면 총리·장관이 운영해야”
김동철 “성공한 정부되려면 총리·장관이 운영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와대는 각 부처간 업무 조율하는 조정자 역할 전념해야”
▲ [시사포커스 이광철 기자]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25일 문재인 정부를 향해 “성공하는 정부가 되려면 총리와 장관을 통해 국정이 운영되고 청은 각 부처 간 업무를 조율하는 조정자 역할에 전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을 중심으로 정부를 운영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했던 약속을 실천으로 보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여당 내 소신과 용기 있는 반론이 많아질 때 문재인 정부가 성공할 수 있다”며 “문성현 노사정 위원장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노조가 중소기업의 지불 능력 이상을 요구해선 안 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지불능력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갈등이 해결되지 않는다고 소신발언을 했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다만 김 원내대표는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관련해선 “김 장관이 내년도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부작용을 인정했고 최저임금 인상속도와 폭을 신축적으로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기재부장관 목소리가 통할지 걱정”이라며 “김동연 패싱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정부 태도에 우려를 드러냈다.
 
특히 그는 “청와대에만 정책실장, 경제수석, 경제보좌관, 일자리수석 4대 수석 등 다섯 시어머니로 불리는 이들이 있다. 이 때문에 명목세 인상이 없다던 김 부총리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증세가 추진되고 있다”며 “책임총리, 책임장관 제도에도 역행하는 것일 뿐 아니라 청와대 내부가 집단사고 위험에 빠져들고 있다는 신호”라고 청와대에 일침을 가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김 원내대표는 “국정의 고비마다 협치의 물꼬를 튼 것은 청와대가 아니라 국민의당”이라며 “한 정치학자의 충고처럼 시민주권의 제1부서는 대통령이 아니라 입법부란 점을 깊이 성찰하고 지금부터라도 말 뿐 아닌 행동으로 진정한 협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거듭 청와대에 직격탄을 날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