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정보를 인터넷 클릭 한번으로

국가기록원은 2200만건의 과거기록을 홈페이지에서 목록을 제공하며, 굳이 국가기록원을 찾지 않더라도 원하는 내용을 온라인 사본으로 받아볼 수 있다. 특히 국민이 자주 찾는 지적기록, 관보, 정책관련 기록물은 별도의 콘텐츠로 알기 쉽게 정리해서 제공하고 있다.
옛 황실문서와 조선통독부문서 등 정부수립 이전 자료부터 각 기관의 영구보존 이관기록물, 각종공사설계도, 공무원 인사기록 등 800만건의 문서기록과 150만건의 시청각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록이 부실했던 해방정국과 한국전쟁 전후 관련 자료들을 러시아, 중국 등에서 수집해 단절된 역사의 기록을 복원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이 정부의 역사정보를 제공한다면 ‘열린정부’는 정부 운영의 현재를 보여준다. 오프라인 중심의 정보공개 형태를 온라인으로 바꿔 정보접근에 대한 문턱을 낮췄다.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국정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열린정부에서는 중앙정부에서부터 지방자치단체,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에 대한 정보를 마우스 클릭만으로도 찾아볼 수 있다. 국민생활관련정보, 예산집행내역 등 중요정보는 정보공개청구가 없더라고 아예 사전에 공개한다.
열린정부에서는 정보목록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행정기관에서 실제 보유하고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정보공개를 청구할 경우에도 기관 홈페이지를 일일이 방문할 필요 없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800여개 기관에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청구 후에는 처리단계별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우편이나 휴대폰 문자 등을 통해 결과를 자동으로 통보받을 수 있다. 공개자료 수수료도 신용카드, 휴대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