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품 살포로 얼룩진 ‘강남 재건축’…민낯 드러난 건설업체
금품 살포로 얼룩진 ‘강남 재건축’…민낯 드러난 건설업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S건설, 자정노력 시도 신고센터 운영 금품 살포 공개
현대건설, 롯데건설 등 건설업체 수사 방향 예의주시
▲ 한신4지구 수주전에서 GS건설의 매표시도 근절을 위한 신고센터 운영 결과 발표 이후 건설업계 후폭풍이 거세다. ⓒ각사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한신4지구 수주전에서 GS건설의 매표시도 근절을 위한 신고센터 운영 결과 발표 이후 건설업계 후폭풍이 거세다.

재건축 사업 시공권을 놓고 그동안 이사비 7천만원 지급 논란에 이어 금품 향응 제공 등 재건축 수주전이 과열되자 정부가 제재방침을 밝히며 경고했음에도 명품가방, 현금 살포 등 잇따라 폭로되면서 급기야 수사당국에서 조사에 착수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금품 향응 제공 등 불법 영업 논란의 시초는 현대건설과 GS건설이 맞붙은 반포주공 1단지에서 수면위로 올라왔고, GS건설과 롯데건설의 미성크로바 재건축을 거쳐 한신4지구 수주전에서 GS건설이 언론에 배포한 금품 향응 신고 접수건이 공개되면서다. GS건설은 현금 4건, 현금, 청소기 1건, 현금, 숙박권 1건, 상품권 4건, 상품권, 화장품 1건, 인삼,화장품 1건, 명품가방 1건, 명품벨트 1건, 과일, 핸드백 1건 등 금품 향응 신고 25건이 접수됐다고 발표했다.

발표 이후 국토부는 GS건설이 폭로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사실관계 확인에 나서 불법행위가 있을 시 입찰에 배제하는 등 강력 제재를 하기로 했다. 이어 경찰이 강남 4지구 재건축에 나선 건설업체를 정조준하면서 업계는 불똥이 어디로 튈지 수사방향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번 강남 재건축 과정에서 불거진 불법영업이 앞으로 이뤄지지 않도록 건설업체들이 모여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게 더 낫지 않았나 싶다”며 “수주전에서 경쟁사를 비방하며 급기야 폭로전으로 이어진 것은 안타깝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에 관련 GS건설측은 이같은 업계 반응에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클린 자정 노력을 업계 먼저 실시했고 불법영업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재건축시장의 혼탁을 방지하고, 도시정비사업의 질서 회복과 정상화를 위해 지속적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 아파트 수주를 위해 대형 건설사들이 각종 금품을 살포했다는 의혹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나선 것에 대해 GS건설은 “신고센터 운영 결과 내용을 최대한 협조하겠다”며 “자사에서 불법 사실 내용이 나올 경우도 마찬가지다”고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