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헤쳐도 끝 없는 강원랜드 비리

3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강원랜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원랜드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자회사 동강시스타와 영업계좌를 가압류 당한 하이원추추파크에 자금지원을 논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강원랜드가 24.11%의 주식을 보유한 자회사 동강시스타는 경영환경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올해 1월 기업회생을 신청하고, 2월에 회생절차개시결정을 받았다.
현재 동강시스타는 자산총계 802억원, 부채 총계 500억원으로 자산이 부채를 약 302억원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의 청산가치는 290억원인 반면 계속기업가치는 160억원으로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를 약 130억원원 초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동강시스타의 회생채권 변제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강원랜드에서는 동강시스타의 감정가 약 700억원의 부동산을 담보로 약 300억원을 대출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강원랜드는 영업용 계좌를 가압류 당한 또 다른 출자회사 하이원추추파크에도 자금지원을 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 추추파크는 현재 건물 시공사와 공사대금 관계로 소송 중에 있는데, 최근 시공사가 청구금액을 5억원으로 해 추추파크의 영업용 계좌를 가압류 당한상황이다.
추추카프가 가압류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해방공탁금을 걸어야 하는데, 문제는 시공사의 본안소송 청구금액이 46억원이므로 추추카프는 추가적으로 가압류될 수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추추파크는 건물 부지에 대해서는 이미 마을금고에 담보를 제공한 상태인데다 지상 건물은 미등기 상태를 담보로 한 추가 대출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강원랜드는 또 다른 자회사인 주식회사 하이원엔터테인먼트를 통한 자금대여를 요청했다.
하지만 하이원엔터테인먼트는 올해 회사를 해산하고 청산할 계획을 갖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자산 중 보유한 현금규모는 70억원 정도에 불과해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한편 이훈 의원은 “강원랜드가 지금 회생절차에 들어간 회사에 돌려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점을 뻔히 알면서도 대출을 해주겠다고 한 것은 명백한 배임행위를 하려는 것이다”며, “가압류 당한 회사를 살리겠다고 파산한 회사돈으로 자금지원을 하려 했는데, 이게 정말 환수가 될 거라고 생각한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