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위안부 기록 등재 보류, 외교실패”…바른정당 “한중정상회담? 굴욕외교”

먼저 자유한국당에선 나경원 의원이 이날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가 발표하는 세계기록유산 등재권고 명단에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가 보류된 데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외교부를 겨냥 “한번 보류 판정을 받은 경우, 다시 등재 판정을 받기 쉽지 않다”며 “한 마디로 외교적 실패”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나 의원은 “유네스코는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보류를 위해 이해 당사국 간 역사인식이 다를 경우 심사를 보류한다는 제도 개혁안을 당초 계획보다 1년 미리 적용하며 철저히 일본의 입장만을 반영했다”며 “절차적 이의 등 강한 제지를 못했다. 외교부는 자신의 직접적인 일이 아니라고 뒷짐만 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그는 유관기관인 문화재청을 향해서도 “세게기록유산 등재 실패에 대해 등재가 연기된 것이지 탈락한 것은 아니라는 궁색한 변명만 내놓고 있다”며 “직접 (유네스코에) 신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구경”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나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는 수용 불가라는 입장을 일본 정치인 앞에선 호기롭게 밝히면서도 위안부 문제를 실질적으로 진전시킬 수 있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이라며 “피해자가 용기를 내서 발언한 기록물조차 국제기구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문재인 정부의 무능이 더 부끄럽게 느껴진다”고 현 정부에 날선 비판을 가했다.
한편 바른정당의 경우 내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한중정상회담을 갖기로 한 데 대해 전지명 대변인 논평으로 “특별한 알맹이가 없다. 한중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엔 생각해 볼 대목이 너무 많다”며 “빈껍데기 굴욕외교”라고 혹평을 쏟아냈다.
특히 전 대변인은 “먼저 한중과계를 이렇게 꼬이게 만들었던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사드 배치를 철회할 수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여러 차례 했고 결과적으로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이 한층 더 강화된 측면이 있다”며 “외교정책에서의 신중치 못한 행보가 한중관계를 꼬이게 했다”고 질책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인한 피해와 관련해서도 “올해 상반기만 해도 사드 갈등으로 입은 경제 피해액이 8조 5000억원에서 22조 4000억원에 이르는데 청와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의견조차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세계무역기구 제소 보류 입장을 밝혔다”며 “우리가 중국으로부터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 내용이 전혀 담기지 않았다. 반성해야 한다”고 책임을 물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