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계란 유통기한 산란일로 바꾼다”…aT "계란 산란일 알 수 없어" ‘탁상정책’
식약처, “계란 유통기한 산란일로 바꾼다”…aT "계란 산란일 알 수 없어" ‘탁상정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탁상정책'으로 업계 혼란 가중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계란의 유통기한이 포장일에서 산란일로 바뀐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정부의 ‘탁상정책’으로 업계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
 
지난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계란 껍질에 산란 일자 표기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식약처의 이같은 추진은 조류인플루엔자(AI)와 ‘살충제 계란’으로 계란 수요가 부족하면서 논란을 빚은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식약처의 추진은 ‘뒤죽박죽’ 앞뒤가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는 지난 1월 미국으로부터 70만개(41.5톤)의 계란을 수입한 바 있다. 수입한 이유는 앞서 설명했듯이 AI와 ‘살충제 계란’으로 계란 수요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수입한 계란이 유통기한을 넘겨 판매됐다는 논란이 일자 aT 관계자 해명하며 “계란이 산란된 시점은 사실상 알기 힘들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식약처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방안 추진에 대한 예고를 한 것이며, 향후 의무화 하는 등 법적인 절차를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식약처의 뜻대로 국내산 계란 유통기한이 산란일로 변경되는 것이 의무화 되더라도, 수입산 계란의 유통기한이 문제다.
 
현재 미국을 포함 대다수의 외국은 계란 유통기한을 포장일로 적용하고 있다.
 
만약 국내산 계란의 유통기한이 산란일로 변경되더라도, 수입산 계란의 유통기한은 포장일부터 적용되기에 시중에 유통되는 계란의 유통기한이 ‘뒤죽박죽’될 우려가 높다.
 
이에 일각에서는 “식약처가 탁상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논란을 덮으려는 급한 마음에 업계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대한양계협회는 본지와 통화에서 “계란의 콜드체인(냉장유통시스템)이 약 20%만 구축됐으며, 사실상 계란의 산란일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계란의 산란일을 유통기한으로 의무화하는 나라는 없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