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소하 “4,930억 원에 이르는 국정원 특수활동비 줄이고 투명성 높여야”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박근혜 임기 동안 40억 원을 국정원 특수활동비에서 받은 것도 모자라 소위 문고리 3인방이라 불리는 안봉근, 이재만, 정호성이 개인적으로 몇 천만 원씩 하는 소위 ‘용돈’을 받았고, 현기환, 조윤선, 그리고 국정원 돈 심부름했다는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까지 국정원에서 정기적인 상납을 받았다는 사실이 연이어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심지어 문고리 3인방은 그 돈으로 2014년 나란히 강남구 삼성동, 서초구 잠원동 등지에 최고 기준시가 9억 원대 아파트를 한 채씩 구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하니,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개탄했다.
이어 “그 외에도 청와대가 진행하는 여론조사 비용까지 국정원의 특수활동비를 갖다 썼다고 하니 국가 안보를 위해 쓰라고 편성한 국정원 특수활동비가 사실은 청와대의 쌈짓돈에 불과했음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들에 대해 윤 대변인은 “결국 박근혜 청와대는 온통 국고를 도둑질하는 잡범들의 집단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묶어놓았던 건 신념이 아니라 오직 돈이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변인은 “검찰은 이번 기회에 청와대와 국정원 간의 커넥션에 대해 철저히 밝혀낼 것을 촉구한다”면서 “아울러 올해 예산부터 특수활동비에 대한 전면적인 수술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국정원 특수활동비 규모에 대해 “매년 늘어나 올해 4,930억 원에 이르는 국정원의 특수활동비의 규모를 줄이고, 그 출처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사용 뒤 증빙자료를 첨부하도록 해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대변인은 “국회를 포함해 각 부처별로 편성된 3,220억 원의 특수활동비 역시 규모를 줄이고, 업무추진비나 특정업무경비로의 전환을 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정의당은 어제 2018년 예산안 심사방안 발표에서 밝힌 대로 올해 예산안 심사를 통해 특수활동비에 대한 철저한 심사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