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내 5.18 희생자 발굴 땅파기 시작
옛 광주교도소 내 5.18 희생자 발굴 땅파기 시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교하고 품위있기 실오라기까지 온전한 발굴
▲ 옛 광주교도소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작업이 땅파기 단계에 접어들었다 / ⓒ5.18기념재단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5.18기념재단은 최근 승인을 받은 옛 광주교도소 내 희생자 발굴작업을 시작했다.

4일 5.18기념재단 등은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 옛 광주교도소 발굴을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더불어 이번 발굴은 5.18기념재단이 맡고 법무부는 유해발굴에 필요한 지원을 해주기로 했으며, 전체적인 진행은 유족과 5.18기념재단의 입장을 존중하기로 했다.

우선 재단은 이번 발굴의 기본원칙으로 학술조사처럼 정교하고 품위 있게 진행키로 했으며 암매장의 역순으로 재현해 실오라기까지 온전한 발굴을 한다는 계획이다.

또 유해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복원하고 유해가 발견되면 보존과학 전문가들과 함께 전문적으로 수습해 5‧18 진실규명 차원에서 복원과 보존을 염두에 두고 발굴키로 했다.

당초 앞서 재단이 최근에 찾아낸 문서에는 광주 교도소에 주둔하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메모로 암매장에 대한 약도가 표시돼 있었다.

이에 법무부의 승인으로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발굴 장소는 광주 교도소 외곽지역으로 최근 목격자들의 증언인 교도소 내와는 다른 곳이다. 5.18기념재단은 앞으로 화순 너릿재 지역, 2수원지 지역 등 추가로 발굴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5.18 당시 군의 발표에 의하면 광주 교도소에서는 27명(보안대 자료에는 28명)의 시민들이 사살된 바 있는데 지금까지 11구의 시신만을 확인하고 있어서 16-7명의 암매장에 대한 합리적인 의심이 가능한 지역으로 구분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