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장관은 UN ESCAP(국제연합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의) 교통장관회의에 참석차 부산 벡스코를 방문, 이날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추 장관은 "이번 회의에 북한의 불참은 매우 아쉽지만 아시아횡단철도는 62개 회원국 전체의 현안이고 북한도 협의과정에 참여했기 때문에 반대하는 입장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북핵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앞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그는 "북한이 불참하더라도 정부간 협정이 효력을 발휘하는데는 문제 없으며 대륙철도의 연계기반으로 한반도종단철도망(TKR)을 우선 구축하기 위해 ESCAP 회원국 및 주변국과 협력해 북측의 협정가입을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가 한반도종단철도망과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연결을 위해 북.러간 양자협의를 통해 나진~핫산간 철도를 개량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북.러 철도운영자회의 등 다자간 협력회의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UN ESCAP 교통장관회의의 성과에 대해 추 장관은 "아시아횡단철도의 노선을 확정하고 28개 회원국이 정부간 협정을 맺었다는 것"이라며 "이는 각국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1단계 사업의 완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는 실무차원에서 국제표준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 장관은 "교통장관 회의에는 40개국에서 50명의 교통.인프라 관련 부처 장.차관들이 참가해 우리와는 20여명과 양자회담했다"며 "몽골 아제르바이잔 등 상당수 국가와 철도, 도로, 신도시 건설 및 운송분야 사업에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추 장관은 이어 "아시아 각지역을 연결하는 8만1천㎞의 노선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경부선과 호남선, 전라선 등 총 929㎞를 국제철도노선에 공식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그는 "아시아횡단철도의 역사적인 정부간 협정이 부산에서 체결된 것은 한반도와 유럽을 연결하는 유라시아 대륙횡단철도의 기종점이 대한민국 부산임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킨 것으로 가장 큰 혜택을 보는 곳도 이 지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