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김관진 전 장관이 이 전 대통령 지시에 의해 사이버사령부 운영했다고 진술”

김현 대변인은 9일 오전 브리핑에서 “군의 정치개입 혐의로 검찰에 소환된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사이버사령부를 운영했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사이버사령부 인원 채용과정에서도 이 전 대통령이 호남출신을 배제하라고 지시하는 등 채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정황도 확인됐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수사결과에 대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불법 댓글 부대 운영이 드러난 만큼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조사는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검찰 수사 결과, 군 사이버사령부는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하는 국가를 위한 조직이 아니라 민간인을 상대로 불법 댓글이나 다는 정권의 하수인으로 전락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또, 채용과정에서는 호남사람을 배제하라고 하는 등 노골적인 지역차별로 국민의 공분을 일으켰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불법댓글 공작의 몸통이 포착된 만큼 수사당국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 다시는 군이 정치개입하며 헌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수사를 촉구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진실의 일단이 드러난 박근혜 비자금 게이트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도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정원에서 상납 받아 모은 수십억 원의 돈을 합법적인 청와대 특수활동비와 섞지 않고 비밀리에 별도의 금고에 보관했고, 이 사실은 청와대 문고리 3인방과 박근혜 전 대통령만 알고 있었던 것으로 검찰수사 결과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검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자택 압수수색 등 증거확보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며 “문고리 3인방의 일관된 진술이 나오고 있는 만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재조사와 소환조사는 불가피하다. 시간이 늦어질수록 증거확보는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또 “특히 박근혜 청와대가 지난해 총선과정에서 별도로 국정원으로부터 5억원을 받아 여론조사를 돌린 사실이 확인된 만큼 당시 정무수석을 맡은 자유한국당 김재원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 역시 불가피하다”며 “이 돈이 실제 자유한국당으로 들어간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