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설픈 친노동정책으로 노동계 불신만 자초해”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은 정권 출범 초기부터 사회적 대화와 대타협을 수차례 강조해왔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어설픈 친노동정책으로 오히려 노동계 불신만 자초했다”며 “무엇보다 비정규직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등은 사회구조 문제로 이해 당사자와 함께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대타협으로 풀어갈 문제였으나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여 결국 노사갈등에 노노갈등까지 불러일으켜 수많은 근로자에게 희망고문만 안겨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정부가 노사양측의 두터운 신뢰를 받아도 노동개혁을 이끌기 힘든 마당에 대화당사자에게 불신을 자초하면 사회적 대화가 요원할 것”이라며 “정부는 말로만 대타협할 게 아니라 노사 양측이 정부를 신뢰할 수 있도록 여건 조성에 힘쓰고 선심성 정책 발표를 중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다만 그는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향해서도 “홍준표 대표는 일본 근대화를 이끈 사카모토 료마를 언급하면서 자기는 좌우 대결의 한 축이라고 했다. 마치 촛불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를 일본 막부 체제와 동일시하고 자기를 근대화라 착각한 비정상적 인식”이라며 “자신들이 저지른 과거 적폐에 대한 반성이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김 원내대표는 거듭 한국당을 겨냥 “한국당은 적폐청산을 정치보복이라 하면서 문재인 정부에 저항한다. 구악을 복원하는 데만 몰두하는 모습에 기가 찬다”며 “국정농단과 헌정유린의 공범으로 역사와 국민 앞에 석고대죄, 반성, 사과도 부족할 판”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아울러 그는 “국민의당도 한국당도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지만 근거와 논리는 천지 차이”라며 “국민의당은 적폐청산을 국가 대개혁 일환으로 적극 동의한다. 다만 문재인 정부가 적폐청산에만 올인하면서 당면한 외교안보 현안, 경제 현안에 대해 제대로 처리 못하고 미래에 대한 대비를 전혀 못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