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대기업 5곳 총수지분 1%미만 기업지배"
공정위 "대기업 5곳 총수지분 1%미만 기업지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위, 공시대강기업집단 57개사 주식소유 현황 공개
금호아시아나‧삼성‧하림‧현대重 총수 지분 1% 미만 기업 지배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총수 단독이 기업 지분을 아예 갖고 있지 않거나 총수일가 지분이 1% 미만임에도 전체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K그룹은 총수일가 지분이 0.3%, 총수단독 지분이 0.0%임에도 기업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는 2017년 5월1일과 9월1일에 지정된 공시대상기업집단 57개사 주식소유 현황을 분석·공개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총수일가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SK‧금호아시아나(0.3%), 현대중공업·하림(0.9%), 삼성(1.0%) 순으로 나타났다. 총수 단독 지분율이 가장 낮은 기업집단 역시 SK로 0.0%로 조사됐다. 이어 금호아시아나(0.2%), 삼성(0.6%), 하림(0.7%), 현대중공업(0.9%)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총수일가 지분 1%미만으로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은 기업집단은 중흥건설(51.4%), 한국타이어(41.2%), KCC(28.3%), 동부(28.0%), 부영(25.1%) 순으로 조사됐다.
▲ (총수일가 출자현황) ‘총수일가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에스케이」·「금호아시아나」(0.3%), 「현대중공업」·「하림」(0.9%), 「삼성」(1.0%) 순으로 조사됐다.ⓒ공정위

총수일가 지분이 없는 계열회사는 49개 집단 소속 1,349개사(75.7%)이고, 총수지분이 없는 계열회사는 1,565개사(8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0대 집단 내부지분율을 보면 총수(0.9%), 총수일가(2.5%), 계열회사(55.5%)로 총 58.3%였다. 특히, 총수있는 상위 10대 집단의 경우 총수 지분율 감소(‘98년 2.9%→’17년 0.9%)에 비해 계열회사 지분율 증가(37.9%→55.5%)가 훨씬 커서 내부지분율까지 대폭 증가(45.1%→58.3%)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총수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계열회사 출자를 통해 지배하는 구조가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공정위 육성권 기업집단정책과장은 “올해도 총수있는 대기업집단은 총수일가가 4% 내외의 지분을 보유한 가운데 계열회사 지분율이 증가하면서 집단 전체 내부지분율이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총수일가의 지분은 줄어들면서 계열회사 지분이 늘어나는 경향이 상위 집단으로 갈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